-

2022년 8월호
KBS 프로그램의 타이틀 디자인 아카이브
KBS아트비전 디자인부 브랜딩 & 그래픽팀 총괄감독김지혜인스타그램 @zzzzzzz_zi계정을 운영하게 된 계기가 궁금하다.선배들의 디자인을 되짚어보며 공부하자는 마음으로 시작했다. 인스타그램으로 이를 공유하니 생각보다 많은 사람들이 보고, 그들의 다양한 의견을 접하게 된다.지금 방송국 내에서 프로그램 타이틀이 만들어지는 과정은 어떤가?프로그램 내용의 구성안이 나오면 콘셉트와 중심이 될 만한 이미지, 컬러에 대한 견해를 조율한다. 이를 토
Designer
Digital
-
![[마이크로소프트 시니어 디자인 리드] 김석우 John Kim](http://dhcdn.design.co.kr/cms/img/2022/08/T3.1660608356.3788.5.jpg)
2022년 8월호
[마이크로소프트 시니어 디자인 리드] 김석우 John Kim
마이크로소프트 시니어 디자인 리드김석우 John Kim 셰어 포인트, 아웃룩, 팀즈 등 마이크로소프트 앱 사용자가 원하는 콘텐츠를 검색할 경우, 정확도가 높은 검색 결과가 페이지상에 어떻게 나타나는지를 디자인한다.마이크로소프트는 워케이션에 관대한 편인가?조직 내에서도 관리자의 재량이나 팀별 업무 특성에 따라 워케이션에 열려 있는 부서도 있고 아닌 경우도 있다. 처음 배치된 팀은 후자였다. 팀원들이 전부 시애틀에 거주하고 있었기에 오피스 출근을
Feature
Designer
Living&Space
-
![[직방 서비스디자인실] 김현우, 오수정](http://dhcdn.design.co.kr/cms/img/2022/08/T3.1660264664.6239.5.jpg)
2022년 8월호
[직방 서비스디자인실] 김현우, 오수정
직방의 디자인 시스템 ‘ZUIX’ 페이지.직방 구성원들은 메타버스 오피스 ‘소마’로 출근한다. 프로덕트 디자인팀이 회의하는 모습.두 사람 모두 팬데믹 시기에 직방에 입사해 줄곧 소마로 출근했다.오수정 아무래도 동료와 함께 일하고 있다는 느낌이 든다. 이전 직장에서도 재택근무를 했지만 오로지 내 일만 할 뿐 동료가, 다른 팀이 어디서 어떤 일을 하는지 알기 어려웠다. 작은 사안이라도 논의하려면 매번 별도의 온라인
Feature
Living&Space
Designer
-
![[집무실] 김성민, 정형석](http://dhcdn.design.co.kr/cms/img/2022/08/T3.1660090479.4367.4.jpg)
2022년 8월호
[집무실] 김성민, 정형석
(왼쪽부터) 정형석 CDO, 김성민 CEO집무실 애플리케이션 디자인.집무실은 코로나19 확산세가 거세지던 시기에 론칭해 업무 환경의 변화를 가장 가까이에서 목도했다.김성민 집무실 본점을 연 2020년, 공유 오피스는 대부분 강남, 종로, 여의도 등 중심 업무 지구에 분포해 있었다. 당시의 과업은 출퇴근 시간을 줄여주는 집 근처 사무실을 선보이는 것이었다. 2021년엔 여기서 한발 더 나아가 원격 근무에 필요한 네트워크 서비스를 제시했고 올해는 확장성에
Feature
Living&Space
Designer
-

2022년 8월호
언맷피플 이민수&위태양 공동 대표
이민수 대표(왼쪽)와 위태양 대표. 개폐식 어닝을 장착한 코사이어티 서울숲 D동에서.언맷피플 건축, 인테리어 등 물리적인 공간 설계부터 스토리텔링, UX, 브랜딩 등 콘텐츠 기획에 이르기까지 통합적인 디자인 솔루션을 추구하는 프로젝트 클러스터. 건축을 전공한 이민수 대표와 브랜드 디자인 전문가인 위태양 대표가 공동 설립했다. 2019년 코사이어티 서울숲, 2021년 코사이어티 빌리지 제주에 이어 최근 코사이어티 판교를 오픈했다. cociety.
Living&Space
Designer
-

2022년 8월호
〈공예, 낯설게 하기〉전
장소 롯데백화점 잠실점 에비뉴엘 6층 아트홀, lottegallery.com기간 6월 24일~8월 28일예술 감독 강신재큐레이터 이규현참여 작가 강석근, 김동완, 김동해, 서희수, 수오, 신경균, 왕현민, 윤정희, 이정무, 이혜미, 양지운, 오마, 정수경, 정재나, 차승언, 허유정 외인포메이션information이 사물을 이해하기 위한 것이라면, 엑스포메이션exformation은 사물을 낯설게 보여줌으로써 탈정형화시키는 것이다. 전자가 이성적으
Living&Space
Designer
-

2022년 7월호
취향에는 정답이 없다
데이비드 김 세계적 와인 생산지로 꼽히는 캘리포니아 소노마 지역에서 태어나 테이스팅 문화를 경험하며 자랐다. 와이너리를 다니며 자연스럽게 쌓은 네트워크를 바탕으로 2018년부터 미국 와인 전문 수입사 ‘보틀샤크’를 운영한다. 차세대 와인메이커를 소개하는 데 주력하고 있으며 지난해 12월 와인 테이스팅 문화를 전하겠다는 일념으로 와인소셜을 오픈했다. @winesocial_dosan동굴과 하늘을 모티브로 디자인한 와인소셜의 블
Living&Space
Designer
-

2022년 7월호
멋과 맛의 한국적 교집합
이미혜 에디터이자 큐레이터, 기획자, 그리고 꽃술 대표. 2008년부터 패션지 〈보그〉에서 디자인과 예술을 담당하는 피처 에디터 및 디렉터로 일하며 〈패션 인투 아트Fashin into Art〉전, 데무 30년 아카이브 전시 〈무無로부터〉 등 대중문화와 순수예술을 넘나드는 전시, 출판 콘텐츠에 참여했다. 2015년 독립한 뒤 이듬해 〈한국 패션 100년〉 전시를 기획해 문화역 284에서 선보였다. 2019년 10월 꽃술을 오픈해 한국 디자인과
Designer
Product
-

2022년 7월호
와인과 라이프스타일 페어링하기
심준섭 테이스트앤드테이스트 CEO. 무신사 초창기 멤버로 10여 년간 일하며 CS, 물류, 서비스 기획 등 인프라 관리 업무를 담당했다. 2020년 퇴사 후 이듬해 8월 와인 바 오프닝을, 같은 해 11월 테이스트앤드테이스트를 오픈했다. 테이스트앤드테이스트에서는 각종 시음회와 디제잉 파티를, 오프닝에서는 엄선한 미술 작품을 큐레이션해 전시회를 열고 있다. bar_opnng tasteandtaste.kr13년가량 다니던 직장을 그만두고 F&
Designer
Living&Space
-

2022년 7월호
가장 동시대적인 술
양유미곰세마리 양조장의 ‘어린 꿀술’, 구름아 양조장의 ‘만남의 장소’를 만들어낸 주조사. 꿀과 건포도, 레몬이 그의 시그너처 재료다. 일러스트레이터 ‘유자야’라는 이름으로 활동하기도 하고, 현재는 이쁜꽃 대표이자 주조사이며 디자이너이자 마케터 역할까지 해내고 있다. @yujaya.yujaya이쁜꽃의 술은 단연 눈에 띈다. 우선 로고의 표정부터 상당히 묘하다.반가사유 미륵불상의 표정에서 모
Product
Designe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