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2022년 1월호
〈넥스트〉 매거진 창간호 발간
발행 디앤디프라퍼티매니지먼트 디자인 스튜디오 고민(대표 안서영·이영하), studiogomin.com 우리는 하루에 얼마나 많은 문을 만날까? 안이든 밖이든 사람은 언제나 공간에 머물기에 우리의 모든 움직임은 문을 열거나 닫는 행위로부터 시작된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디앤디프라퍼티매니지먼트D&D Property Management가 기획한 라이프스타일 매거진 〈넥스트〉는 이런 차원에서 창간호 주제를 ‘문&rsquo
Graphic
-

2022년 1월호
〈더 라스트 리조트〉 도록
디자인 신신 shin-shin.kr 사진 COM “왜 이렇게 디자인하셨어요?” 디자이너라면 필연적으로 듣게 되는 질문이다. 스튜디오 씨오엠이 지난해 4월 망원동 취미가에서 연 전시 〈더 라스트 리조트The Last Resort〉의 도록에는 3개의 쪽지가 끼워져 있는데 그중 하나가 이 문장으로 시작한다. 당시 전시는 가상의 휴식 공간이라는 콘셉트로 공간을 채운 스튜디오 COM의 가구와 오브제를 만나볼 수 있었다. 이를 기록한 도
Graphic
-

2022년 1월호
2022년을 빛낼 캘린더 6
2022 코우너스 캘린더 리소 전문 인쇄소를 운영하는 디자인 스튜디오 코우너스의 달력. 다양한 컬러로 평일과 휴일을 구분해 보는 맛을 더했다. A2, A3 사이즈의 벽 달력과 미니 사이즈의 테이블 달력이 있다. 디자인 김대웅 @corners.kr 2022 by 1234578 실크스크린으로 인쇄한 숫자와 리본 위에 연필, 펜, 목탄으로 그림을 그렸다. 디자이너가 직접 그린 만큼 세상에 하나뿐인 특별한 달력이다. 디자인 김지환, 민성식, 손아용
Graphic
-

2022년 1월호
서울디자인컨설턴트
2016년 서울디자인컨설턴트는 터닝 포인트를 맞았다. 서울시 뉴딜 일자리 정책의 일환으로 청년 디자이너가 사업에 참여하기 시작한 것. 현업에 종사하는 디자인 컨설턴트의 멘토링을 받으며 한 팀으로 디자인 과제를 수행하는 형식인데, 도시의 공공 디자인을 개선하는 동시에 젊은 디자이너의 역량을 촉진시킬 수 있다는 것이 장점이다. 브랜드 아이덴티티 디자인, 교육·커뮤니티 공간 디자인, 온라인 플랫폼 제작 등 분야도 다양하다. 과제 수행과 더불어 서
Living&Space
Graphic
-

2022년 1월호
설화수 컬처 프로젝트
국내 글로벌 대표 뷰티 브랜드 설화수는 매년 한국 전통문화를 현대적으로 재해석하여 다양한 세대 간의 소통과 공감을 이끌어내는 설화문화전을 진행해왔다. 초반에는 장인의 작품, 즉 전통 공예에 더 집중했다가 현대적인 재해석을 통해 전통과 현대의 조화를 추구하며 젊은 작가들과 협업을 시도하였다. 여러세대가 공감하고 소통하는 장을 만들기 위한 설화수의 노력은 올해 또 다른 변화를 시도한다.우리 문화를 알아가고 알리는 설화수의 새로운 문화 프로젝트
Graphic
-

2022년 1월호
팔칠엠엠 일상체
팔칠엠엠 일상체를 적용한 2011-2021 후드와 모듈러 가구.‘노 콘셉트 벗 굿 센스No concept but good sense’를 슬로건으로 하는 87MM은 특정한 틀에 갇히기를 거부하고 일상적으로 즐기는 감각과 경험을 디자인으로 구현하고 있다.
Graphic
-

2021년 12월호
월드 일러스트레이션 어워즈 속 올해를 빛낸 일러스트
최다니의 ‘Cabinet of Curiosities’김효은의 ‘I Am The Sunway’ 영국의 일러스트레이터 협회(The Association of Illustrators)가 선정하는 월드 일러스트레이션 어워즈의 올해 수상작이 공개됐다. 광고, 출판, 제품 디자인 등 20개 부문의 개별 수상과 네 가지 종합 부문의 수상이 이뤄지는데 각 부문별 수상자 리스트에서 한국 작가들의 이름이 눈에 띈다. 특히 최
Graphic
-

2021년 12월호
2021 한국에서 가장 아름다운 책
〈블루노트 컬렉터를 위한 지침〉 디자인 이기준 〈전위와 고전: 프랑스 상징주의 시 강의〉 디자인 박상일 〈신묘한 우리 멋〉 디자인 김민영, 안마노(안그라픽스) 서울국제도서전에서 선정한 올해 ‘한국에서 가장 아름다운 책’이 발표되었다. 선정된 작품 중 안그라픽스의 김민영, 안마노가 디자인한 〈신묘한 우리 멋〉은 민예 운동의 선구자 조자용의 〈우리 문화의 모태를 찾아서〉를 개정한 책이다. 한 손에 들어오는 판형으로 수록된 글과
Graphic
-

2021년 12월호
2021 서울디자인페스티벌 프리뷰
2021 서울디자인페스티벌의 아트 디렉터를 맡은 디자인 스튜디오 일상의 실천이 작업한 포스터 시리즈. 여러 버전의 포스터로 다양성의 가치를 은연중에 드러냈다. “디자인이란 무엇인가?”라는 질문에 골몰한 적이 있다. 수많은 디자인 구루들은 저마다 다른 답을 내놓았다. 누군가는 ‘굿 비즈니스’라고 말했고 또 다른 누군가는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활동’이라 했다. 아름다운 시에 비유하는
Graphic
Essay
-

2021년 12월호
언리미티드 에디션 #UE100
행사 공식 포스터. 포춘 쿠키에서 빠져나온 메시지 난을 참가자들이 자유롭게 커스터마이징해 홍보에 활용할 수 있도록 했다. 제13회 언리미티드 에디션 서울아트북페어 2021 전시 기간 11월 11일~14일 전시 장소 플랫폼엘 컨템포러리 아트센터 주최·주관 유어마인드, 플랫폼엘 후원 루이까또즈, 산돌구름, 서울문화재단, 플랫폼엘, 왓리얼리매터스(wrm) 기획 남선우, 이도현, 이로, 이보영 EI 디자인 박선경(EMC) 서체 디자인
Graphic