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2021년 4월호
여행 대신 전시
팬데믹 상황이 지속되면서 해외여행은 꿈도 꿀 수 없는 현실이 됐다. 그런데 최근 가상으로 여행을 체험할 수 있는 전시가 연달아 열려 눈길을 끌었다. 이들의 공통점은 좌석이나 티켓, 여권 등의 장치를 이용해 여행에서 느끼던 설레는 감정을 자극하는 것. SNS 속 해시태그로만 소비되는 그저 그런 전시라고 생각하면 오해다. 여행을 테마로 톡톡 튀는 MZ세대 작가들이 참여한 전시를 살펴봤다. 1 익스프레스 2021 ©아워레이보 상업 지구로
Living&Space
-

2021년 4월호
마시기도 전에 취해버린, 공간 뒷동산
©박길종 공간 디자인 길종상가(대표 박길종), bellroad.1px.kr 주소 서울시 성북구 삼선교로2길 3 인스타그램 duidongsan_our 운영 시간 수~금요일 17:00~22:00 토~일요일 15:00~22:00(월~화요일 휴무) 내가 술인가, 술이 나인가. 장자의 호접지몽을 떠올리게 하는 ‘공간 뒷동산’은 길종상가가 애주가인 주인장, 송대영 작가를 위해 쌀술을 빚는 양조장 겸 한식 주점으로 디자인
Living&Space
-

2021년 4월호
역사 속 컬렉티브 공간 - 2
뭐든지 모여서 머리를 맞댈 때 그럴듯한 아이디어도 나오고 시너지도 일어나는 법이다. 비대면 시대에 줌이나 클럽하우스 같은 온라인 플랫폼이 오프라인 미팅의 기능을 대체하고 있지만 사람들은 여전히 물리적 공간에서의 만남을 선호한다. 그렇다면 당대 잘나가는 문인이나 예술가, 디자이너들이 모이던 공간은 어디였을까? 17~18세기 프랑스에서는 상류 계층을 중심으로 정기적으로 책을 낭독하거나 토론하는 살롱 문화가 발달했다. 19세기에 들어서는 카페가 그 역할을 대
Living&Space
Feature
-

2021년 4월호
역사 속 컬렉티브 공간 - 1
뭐든지 모여서 머리를 맞댈 때 그럴듯한 아이디어도 나오고 시너지도 일어나는 법이다. 비대면 시대에 줌이나 클럽하우스 같은 온라인 플랫폼이 오프라인 미팅의 기능을 대체하고 있지만 사람들은 여전히 물리적 공간에서의 만남을 선호한다. 그렇다면 당대 잘나가는 문인이나 예술가, 디자이너들이 모이던 공간은 어디였을까? 17~18세기 프랑스에서는 상류 계층을 중심으로 정기적으로 책을 낭독하거나 토론하는 살롱 문화가 발달했다. 19세기에 들어서는 카페가 그 역할을 대
Feature
Living&Space
-

2021년 4월호
LG Z:IN 인테리어 디자인 공모전
코로나19가 일상을 급격하게 변화시키면서 비대면 미래형 주거에 관한 다양한 전망이 쏟아지고 있다. 홈 오피스, 홈 가드닝, 홈 캠핑, 홈 트레이닝 등 그동안 집 밖에서 이루어지던 활동들이 실내로 들어오는 트렌드에 맞게 주거 공간 역시 다양한 기능을 포괄할 수 있는 유기적이고 가변적인 형태로 진화하는 중이다. 또한 각기 다른 취향과 안목을 가진 소비자를 만족시킬 수 있는 맞춤형 인테리어도 급부상하고 있다. LG하우시스는 이런 시대를 반영하고자 올해 제1회
Living&Space
-

2021년 4월호
ALLways Home
한샘 리하우스 스타일 패키지 ‘모던 클래식 크림’. 21봄 한샘 라이프스타일 트렌드 지난해 경기연구원에서 발표한 국민 정신 건강 실태 조사에 따르면 국민의 절반에 육박하는 사람들이 코로나19로 인해 ‘다소’ 또는 ‘심각’ 수준의 불안과 우울감을 느꼈다. 외부 활동을 자제하고 실내에 머무르는 시간이 길어지면서 느껴지는 무기력감과 답답함이 주요 원인이다. 집에서 가장 많은 시간을 보내게 되면
Living&Space
-

2021년 4월호
럭셔리 공간에 담긴 헤리티지
페어몬트 앰배서더 서울 나비를 모티브로 디자인한 모던 유러피언 퀴진 ‘마리포사’. 골드 룸 이상 투숙객이 이용할 수 있는 ‘페어몬트 골드 라운지’. 페어몬트 앰배서더 서울 ‘펜트하우스’ 리빙 룸. 칼 가뇽 페어몬트 앰배서더 서울 총지배인 “단순한 숙박 시설이 아닌 세상의 다양성을 경험하고 사람들과 관계를 맺는 곳으로 만들고 싶다.” 강남이 아닌 여의도를
Living&Space
-

2021년 4월호
더현대 서울 속 추천 브랜드 10
B2 BGZT Lab by 번개장터 BGZT Lab(브그즈트 랩)은 모바일 앱을 기반으로 하는 번개장터가 처음 선보인 오프라인 중고 거래 매장이다. 국내에서 보기 힘든 한정판 스니커즈 위주로 선보이며 비대면 거래를 위한 로커도 이용 가능하다. 쇼메이커스(인스타그램 showmakers_studio)에서 공간을 디자인했다. 인스타그램 bgztmag B2 아르켓 H&M 그룹 산하 브랜드로 개성 있는 노르딕 라이프스타일을 제시하는 아르켓은 더현
Living&Space
-

2021년 4월호
더현대 서울
5층에 위치한 사운즈 포레스트. 이너 존과 아우터 존을 7개의 브리지로 연결한 공간 구조가 한눈에 보인다. ©Hyundai Department Store / Photography : Kyungsub Shin 기술을 접목한 체험형 전시를 보여주고자 1층 공간에 스튜디오 스와인의 작품 ‘스프링 포레스트’를 설치했다. ©Hyundai Department Store / Photography : Kyungsub Shin
Living&Space
-

2021년 3월호
디벨로퍼가 된 건축가
건축가가 변했다. 클라이언트의 의뢰나 공모 당선을 하염없이 기다리는 것이 아니라 직접 프로젝트를 기획하고, 땅을 매입하고, 건물을 짓는 부동산 개발업자의 역할을 겸하는 건축가가 나타난 것이다. 지금까지 디벨로퍼 겸 건축가가 전혀 없었던 것은 아니다. 거대 아트리움을 접목시킨 호텔 디자인으로 잘 알려진 존 포트먼John C. Portman은 1957년 포트먼 홀딩스Portman Holdings라는 개발 회사를 세우고 계속해서 대형 마트와 호텔을 세워 쇠락
Feature
Living&Spac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