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2022년 6월호
팰리세이드 하우스
갤러리 마케팅의 아버지라 불리는 필립 코틀러Philip Kotler 교수는 지난해 한 강연에서 현대적인 마케팅의 개념을 설명하며 다음과 같이 이야기한 바 있다. “자동차 회사가 ‘우리는 차를 만듭니다’라고 마케팅하는 것은 의미가 없다. ‘우리는 특정 고객층이 차에 기대하는 바를 잘 알고, 그들이 원하는 차를 만드는 것이 목표입니다’라고 말해야 한다.” 최근 익선동에
Living&Space
-

2022년 5월호
장벽 없는 도시를 꿈꾸다, K-팜
3 잃어버린 시간을 찾아서, 어번 파밍 농사를 짓기 전 인류에게 도시는 없었다. 먹을 것이 있는 곳에 머물고 식량이 떨어지면 먹거리를 찾아 또다시 헤맸다. 이동과 정착을 반복하는 유목민의 삶을 멈추게 해준 것은 농업이었다. 채집이 아닌 경작을 하면서부터 땅을 소유하고 지역공동체를 이루며 집과 마을, 도시를 만든 것이다. 하지만 인류는 도시가 거대해지자 산업과 농업을 분리했다. 그렇게 몇 세기가 흘렀다. 아이러니하게도 문명의 발달이 고도화되자 인간은
Feature
Living&Space
-

2022년 5월호
〈언커머셜: 한국 상업사진, 1984년 이후〉전
기간 4월 8일~6월 26일 장소 일민미술관 기획·협력 이미혜 kkotssul 그래픽 디자인 워크룸 workroompress 협업 디스이즈네버댓, 페이퍼 프레스, 포스트 스탠다즈 사진 안상미(하퍼스 바자 코리아, 2021년 8월) 2022년 새해가 밝자마자 한국의 사진작가 조기석이 촬영한 〈보그 이탈리아〉 커버가 공개되었다. 글로벌 패션지가 증명하듯 한국과 한국의 아티스트들에게 전 세계의 관심이 쏠리고 있다. ‘한류
Living&Space
Graphic
-

2022년 5월호
오시리아 테마파크 프로젝트
롯데월드 어드벤처 부산의 로얄가든존에서 바라본 전경. 이번 오시리아 테마파크는 그동안 간삼건축이 진행했던 프로젝트와는 성격이 달랐을 것 같다. 건축설계자는 복합적인 업무에 익숙하다. 단일 용도의 건축물이라도 토목, 기계, 전기, 통신, 소방 등 설계 시 고려해야 할 요소가 많기 때문이다. 더욱이 테마파크는 훨씬 복잡하고 총체적인 설계가 필요하다. 어트랙션이 공간의 중요한 콘텐츠라는 점과 스토리에 대한 몰입도를 전제로 한다는 점이 기존 건축설계와 가장
Living&Space
-

2022년 5월호
<하우스비전 2022 코리아 전람회>
전람회 디렉터 하라 켄야 주최 하우스비전 제작위원회, 만나CEA 주관 프로젝트 디자인 그룹, 니폰 디자인 센터 협력 디자인하우스 전시 기간 5월 5일~6월 18일 전시 장소 뤁스퀘어 (충북 진천군 이월면 559-80) 건축가 민성진, 메타팜 유닛건축가 김대균이 기획하고 디자인한 ‘컬티베이션 하우스’.디자이너 나훈영이 만나CEA, 우아한 형제들과 함께 기획한 ‘100% 키친’.니폰 디자인 센터의 디자이너 하
Living&Space
Feature
-

2022년 4월호
2022년 프리츠커상 수상자, 프란시스 케레
Benga Riverside School. ©Francis Kéré Xylem. ©Iwan Baan 프란시스 케레 Surgical Clinic and Health Centre. ©Francis Kéré Serpentine Pavilion. ©Iwan Baan 프리츠커상에 대해 말하다 보면 개인이 할 수 있는 일은 별로 없는 것 같다는 무력감에 휩싸일 때가 있다. &ls
Designer
Living&Space
-

2022년 4월호
애플이 조성한 아부다비 수변 산책로
건축 디자인 포스터앤파트너스, fosterandpartners.com 애플에서 건축가에게 상을 준다면 노먼 포스터는 의심의 여지 없이 파이널리스트에 오를 것이다. 스티브 잡스는 죽기 4개월 전에도 포스터+파트너스Foster+Partners에 직접 사옥 설계를 의뢰할 정도로 노먼 포스터의 디자인 감각을 믿었다. 그래서일까. 애플 스토어는 곧 포스터+파트너스를 상징하기도 하며 이들의 하이테크 건축은 날로 진화하고 있다. 최근 아랍에미리트 아부다비에 문
Living&Space
-

2022년 4월호
Houstep
도배, 장판, 마루, 필름, 창호, 몰딩 등 리모델링 과정을 세분화해 개별적으로 제품을 판매하는 하우스텝 쇼룸. ‘인테리어도 옷처럼 입어보고 산다’는 피팅룸 콘셉트에 맞춰 상점 형태를 강조했다. 인테리어는 가격을 붙여 대량 유통할 수 있는 상품이 아니다. 재료값과 인건비도 천차만별인 데다 집집마다 구조도 제각각이기 때문이다. 홈 인테리어 시장의 매출은 수직 상승하고 있지만 표준화된 가격 체계가 없기에 소비자는 여전히 막막하다. 하우
Feature
Living&Space
-

2022년 3월호
덕질에 우아한 디자인 한 점을 더한 독립 서점, ‘그래픽’
건축 디자인 OONN(대표 이누)공간 디자인 유랩(대표 김종유), designstudioulab.com참여 디자이너 한덕규, 이슬기, 김희원장소 서울시 용산구 회나무로39길 33사진 강민구 다세대주택이 늘어선 경리단길 골목 한편에 속내를 짐작하기 어려운 하얀 건물이 들어섰다. 도심을 바라보는 창 하나 없이 질박한 이 건물은 독립 서점 그래픽이다. 언뜻 보기에 책방이라는 기능에 의문부호를 붙게 만들지만 공간을
Living&Space
-

2022년 3월호
플라스틱 쓰레기로 만든 테니스장, 아디다스×팔리
‘아름다운 바다 위에 테니스 코트가 떠다닌다.’ 꿈에서나 볼 수 있을 것 같은 이 풍경이 실제로 펼쳐졌다. 아디다스가 호주의 대표적인 명소 중 하나인 그레이트배리어리프Great Barrier Reef 바다 위에 해양 플라스틱 쓰레기를 재활용해 제작한 테니스 코트를 띄웠다. 2015년부터 바다 환경을 지키는 비영리 단체 ‘팔리 포 디 오션스Parley for the Oceans’와 꾸준히 협업한 아디다스가 지난
Product
Living&Spac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