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2021년 2월호
오뚜기의 귀여운 변신, 롤리폴리 꼬또
공간 디자인 스튜디오베이스(대표 전범진), studiovase.com 사진 ©박우진 주소 서울시 강남구 봉은사로51길 19 인스타그램 rolypoly_cotto 지난해 11월 강남구 논현동에 오뚜기의 브랜드 경험 공간 ‘롤리폴리 꼬또’가 오픈했다. 3분 요리와 양념 소스로 한국의 대표적 식품 전문 기업이 된 오뚜기의 첫 번째 오프라인 브랜드 스토어다. 공간 디자인을 맡은 스튜디오베이스
Living&Space
-

2021년 2월호
365일을 세는 여섯 가지 방법 <어제 오늘 내일>
이마누엘양이유진의 ‘Past Present Future’. 한 달을 구성하는 이미지를 차례로 천장에 걸어 입체감을 주었다. 설치한 사진은 한 달의 시간을 물리적이고 시각적으로 보여준다. 〈어제 오늘 내일〉 포스터. 박예지·정나림의 ‘LOVE TODAY! 2021’. 365가지 하트 모양 그래픽으로 2021년 일력을 완성했다. 마치 티켓처럼 디자인해 종이에 적힌 지시문을 마음을 전하듯 나눠줄 수
Living&Space
-

2021년 1월호
쪽프레스의 세계, 스파인
주소 서울시 용산구 백범로 48 2층 공간 디자인 포스트스탠다즈(김민수) poststandards 사진 얼터앤얼터(이승현) 한쪽책 시리즈, 그래픽 노블 시리즈 등 흥미로운 만듦새로 책 형태를 실험하는 쪽프레스가 오프라인 공간을 마련했다. 서울 용산구 백범로, 독특한 구조의 건물 2층에 자리한 스파인Spine이다. ‘척추’의 영어 단어인 ‘스파인’은 책등을 의미한다. 가로로 긴 내부 공간 또한 길쭉한 책등
Living&Space
-

2021년 1월호
위로와 상생의 디자인 축제 '서울라이트'
2019 서울라이트. ©박영채 ©서울디자인재단 2019년 말, 형형색색의 빛이 DDP 건물 외벽을 아름답게 물들이며 시민 약 100만 명의 발길을 끌어모았다. 서울디자인재단이 주최한 ‘서울라이트’가 화려한 막을 올린 것이다. 당시 이 행사는 세계 시민들을 감동시키며 서울의 글로벌 디자인 위상에 걸맞은 미디어 콘텐츠로 자리매김했다. 2020 서울라이트 가을 행사 ‘DDP LIGHT ON’은 한층
Living&Space
-

2021년 1월호
DDP 디자인 스토어
정해조 옻칠유리화병 옻칠유리화병은 정해조 작가의 광율 시리즈를 모티브로 하여 제작한 유리에 옻칠한 화병이다. 작가가 직접 만든 형태를 그대로 금형 제작하여 그 안에 블로잉하고 그 위에 작가의 고유 색인 다섯 가지 색으로 옻칠했다. 옻칠 작업 과정을 현저히 줄이고 화병의 기능성을 강화해 대중이 건칠 공예의 대가인 정해조 작가의 작품 세계에 더 친숙하게 다가갈 수 있도록 했다. DDP 디자인 스토어 DDP 명품 브랜드 컬렉션이 놓인 옻칠 소반은 이
Living&Space
-

2021년 1월호
DDP의 공공 가치 실현을 위한 시민 오픈 공간, D-숲
D-숲 전경. 시민들을 가장 먼저 맞이하는 미디어 트리는 신소재인 액상 아크릴로 제작했으며, 상부의 아트 캔버스를 통해 다양한 정보를 제공한다. 지난 10월 30일 ‘시민라운지 D-숲’ 오픈을 기념해 서울디자인재단과 서울시립교향악단(대표이사 강은경)이 ‘우먼 인 D-숲 클래식’ 행사를 공동 개최했다. DDP에서 만나는 디자인과 실내악의 하모니로, 코로나19로 지친 시민들을 위한 클래식의 향연으로 위로와 힐링의
Living&Space
-

2021년 1월호
<각양각색 x 공통분모>
김예지의 ‘바닷바람 맞으며 말라가는 주문진 오징어 튜브’. 형광 옐로 컬러의 그래픽 패턴 디자인을 튜브에 적용했다. 2015년 설립한 강원창조경제혁신센터(센터장 한종호)는 강원도의 건강한 창업 생태계를 조성하기 위해 각종 사업을 활발하게 펼치고 있다. 강원창조경제혁신센터는 가능성 있는 창업자를 발굴해서 보육하고, 지역을 뛰어넘어 성장할 수 있도록 투자한다. 또한 지역의 고유한 생활 문화유산을 기반으로 혁신적인 비즈니스를 만들어
Living&Space
-

2021년 1월호
<바이오필리아: 흙 한줌의 우주>
주최·주관 국립아시아문화전당, 아시아문화원 전시 기간 11월 24일~2021년 3월 1일 전시 장소 국립아시아문화전당 문화창조원 복합1관 ACC_R 디자인 분야 참여 작가 김보배, 박고은, 용세라, 정나영, 최지이 포스터 디자인 일상의실천 웹사이트 acc.go.kr 국립아시아문화전당(ACC)은 2016년부터 매해 ‘ACC_R 레지던시’라는 프로그램을 통해 전 세계 예술가, 디자이너, 연구자들의 새로운 창작과
Living&Space
-

2021년 1월호
마음을 다해 당신을 대접하는 집, 향심재의원
공간 디자인 백에이어소시에이츠(공동 대표 안광일·박솔하), 100a.kr 참여 디자이너 김동수, 이다정, 이이레 대구에 있는 향심재의원이 2020 레드닷 디자인 어워드 ‘브랜드 & 커뮤니케이션 디자인’ 부문, ‘리테일 디자인-헬스케어’ 위너를 수상했다. 언뜻 누군가의 가정집처럼 보이는 이곳은 가정의학과와 피부과가 결합된 병원이다. 외관은 투박한 질감이 마치 수공예 작품 같은 느낌마저 주는
Living&Space
-

2021년 1월호
3인의 브랜드 디렉터가 영등포에 주목하는 이유
축구 유니폼을 스트리트 패션 문화로 성장시킨 ‘오버더피치’는 한정판 & 커스터마이징 문화를 만든 브랜드로, 웹 매거진 발행을 통한 온라인 소통은 물론 연남동 매장에는 풋살장을 마련해 옷을 입고 즐기고 행동하게 만든다. 팬층이 견고한 패션 편집숍 브랜드 ‘슬로우스테디클럽’ 역시 브랜드가 지향하는 철학에 공감하는 이들로부터 신뢰를 얻고 있다. ‘빠르게 돌아가는 현대사회에서 지나친 화려함과 편리함을
Living&Spac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