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2022년 2월호
예술과 F&B를 결합한 카페, 〈오브젝트 유니버스〉전
기간 1월 20일~4월 10일 장소 울산시립미술관 편의동 카페 주최·주관 울산시립미술관 기획·공간 디자인 아워레이보, our-labour.com 협력 큐레이터 추성아 그래픽 디자인 강문식 참여 작가 강문식, 권오상, 김수연, 람한, 레어로우, 류종대, 문이삭, 빠키, 아워레이보, 에리카 콕스, 오차원, 이동훈, 이은우, 이학민, 최병석, 추성아 지난 1월 7일 개관한 울산시립미술관 편의동에 위치한 카페가 창작자
Living&Space
-

2022년 2월호
가까운 미래로 안내하는 40인의 영 디자이너
SDF 역대 영 디자이너의 작품을 한데 모은 전시관. 정박스튜디오(박정언)의 선과 점으로 이루어진 모빌. 팝코니 유니코니Popcorny Unicorny(신하늬)의 조명. 진짜 ‘요즘 애들’에 대해 알고 싶다면 인터넷 신조어 따위를 외우는 대신 차세대 디자이너들의 활동상을 살피길 추천한다. 서울디자인페스티벌은 시작부터 지금까지 줄곧 신진 디자이너를 적극 지원해왔다. 밀라노 디자인 위크의 살로네 사텔리테Salone Satellite,
Living&Space
Designer
-

2022년 2월호
유네스코가 선정한 2021년의 건축 디자인
소파이 스타디움. ©HKS칼텍의 첸 신경과학 연구동. ©SmithGroup뉴욕의 라구아디아 공항. ©LaGuardia Gateway Partners갤러리아 광교. ©OMA유네스코가 혁신적인 건축물에 수상하는 베르사유 건축상의 파이널 위너를 발표했다. 건축가 비야케 잉겔스 그룹Bjarke Ingels Group과 파트리시아 우르퀴올라Patricia Urquiola, 영화감독 장자크 아노Jean-Jacques Annaud
Living&Space
-

2022년 2월호
서브컬처의 수평적 확장, 크리에이터스 그라운드
만능 크리에이터 308 아트크루의 공감각 체험 콘텐츠. ‘헬로맨’ 연작으로 라이브 드로잉 퍼포먼스를 펼친 범민 작가.최근 젊은 창작자들의 실험 정신을 바탕으로 서브컬처가 활발한 움직임을 보이고 있다. 오랫동안 하위문화, B급 정서로 외면받았으나 남다른 개성을 중시하는 MZ세대의 취향에 힘입어 하나의 트렌드가 됐고 그 범주도 점점 넓어지는 추세다. 크리에이터스 그라운드는 이런 흐름에 주목해 서브컬처를 한곳에 집약한 전시다. 메인 컬처
Living&Space
-

2022년 2월호
물성의 가치를 드러내다, SDF 제품 디자인
스튜디오 다주로에서 선보인 조명 ‘템플 시리즈’.‘지속 가능한 쇼핑백’에 화분, 잡지, 와인병 등을 담아 곳곳에 전시한 DSLSM 부스. 2021년에 브랜드 탄생 100주년을 맞이한 알레시의 전시 부스.스웨덴의 패브릭 브랜드 크바드라트와 협업한 제품을 선보인 누하스 부스. 메타버스, AR·VR 등으로 비물성화가 대세가 되고 있지만, 0과 1이 아닌 원자의 세계에 사는 우리에게 물성의 가치는 여전히
Living&Space
-

2022년 2월호
2022년 디자인 부적! 호랑이 핸드크림
1 그린 플로럴디자인 김은영 @lucy_key_com“스스로 선택한 길을 순조롭게 가는 것조차 힘든 세상이지만 아무쪼록 자신을 잃지 않고 마음껏 ‘으르렁’하자는 뜻에서 우아하고 간결하게 디자인했다. 스웨덴 팝 그룹 아바의 노래 ‘타이거’에서 착안한 호랑이의 위풍당당한 걸음이 특징이다.” 2 우디 그린디자인 김지영@oodmong“호랑이는 우
Living&Space
Graphic
-

2022년 2월호
거부할 수 없는 미래, 지속 가능성
지난해 9월 유엔 총회 개회 연설에서 업사이클링 소재로 만든 의상을 입고 등장한 BTS는 미래 세대가 로스트 제너레이션이 아닌 웰컴 제너레이션으로 환영받아야 한다며 지속 가능 발전 목표(SDG)를 지지하는 목소리를 냈다. 제조업과 화석연료 의존율이 높은 우리나라는 2018년 기준 OECD 회원국 중 온실가스 배출량 5위라는 오명에서 벗어나기 위해 2020년 10월 ‘2050 탄소 중립 목표’를 선언하고 이듬해 8월에 탄소중립&mid
Living&Space
-

2022년 2월호
축제의 문을 연 커뮤니케이션 디자인
패브릭, 공간, 가구, 실크스크린, 패션 아이템 등 다양한 제품이 전시되었다.디자인 스튜디오 오이뮤의 우리말 색이름 사전 색이름.SDF 로고를 새긴 예스아이씨Yeseyesee 재킷.전시장 입구의 미디어 아트월.그래픽 디자인은 물론 미디어 아트, 메타버스까지 총출동한 커뮤니케이션 구역은 입구에서부터 관람객의 눈을 사로잡았다. 인류가 절멸한 이후의 미래를 그려낸 일상의실천의 ‘변종의 시대’, 메타버스 플랫폼 제페토를 활용
Living&Space
Graphic
-

2022년 2월호
<REFLECTIONS IN MOTION>전
‘컬러 앤 라이트’를 사이에 두고 서로 마주 보도록 배치한 헤리티지 시리즈 포니와 1세대 포니. 뒤로는 미디어 아티스트 박제성의 〈여정〉이 상영되고 있다. 2층에 설치된 머티리얼.시간과 디자인의 상관관계를 깊이 있게 고찰해 많은 주목을 받았던 현대 모터스튜디오 부산의 〈리플렉션 인 모션〉전이 이번에는 서울로 무대를 옮겼다. 새로운 공간에서 열리는 만큼 전시 디자인에도 변화를 주었는데 ‘Design to Live b
Living&Space
-

2022년 1월호
동네 구멍가게에서 멋과 맛 쇼핑하기
©김동규 공간 디자인 바이석비석(대표 석준웅), byseog.com 그라피티 XEVA 장소 서울시 강남구 도산대로34길 22 강남구 도산대로에 위치한 테이스트앤테이스트Taste and Taste는 일상적으로 동네에서 장을 보며 맥주와 와인, 커피를 가볍게 즐길 수 있는 식료품 편집숍이다. 여기서 주목해야 할 키워드는 ‘일상’과 ‘동네’다. 시대가 바뀌며 물건도, 그것을 사고파는 방식도 달라졌지
Living&Spac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