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2022년 11월호
플랏엠
옴니디자인과 라이프스타일일공일에서 실무를 익힌 선정현이 2005년 설립한 디자인 스튜디오. 플랏엠은 누구와도 관계 맺기를 할 수 있는 익명의 ‘M동’이라는 뜻. 홍대 산울림소극장 1층에 위치한 카페 수카라와 국내 1세대 리빙 편집숍 루밍, 패브릭 브랜드 키티버니포니, 제로컴플렉스, 그라더스, 식스티세컨즈, 플라츠2 등의 공간과 가구 디자인, 기획을 맡았다. 선정현, 조규엽 2인 체제를 유지하며 2016년부터 ‘논픽션홈&
Living&Space
Feature
Designer
-

2022년 11월호
건축가의 가구 vs. 디자이너의 집 짓기
건축 유산을 답사하러 가보면 가구가 공간에 방점을 찍는 것을 발견하게 된다. 미스 반데어로에가 디자인한 바르셀로나 체어의 X자 철제 크롬 다리는 그 의자가 최초로 놓인 바르셀로나 파빌리언(1929)의 十자 철제 크롬 기둥과 맥락을 같이한다. SAS 호텔에 놓인 아르네 야콥센의 의자들은 완벽하게 아름다울 뿐만 아니라, 신체와 접하는 면적을 달리하며 공간에서 공적이고(스완 체어) 사적인(에그 체어) 관계를 만들어낸다. 알바르 알토는 핀란드 지폐에 등장할 정
Feature
Essay
-

2022년 11월호
비트윈 스페이스
디자인 비트윈 스페이스(대표 김정곤·오환우)참여 디자이너 양혜진, 이현정, 윤주원, 정양훈, 안태영주소 경기도 성남시 분당구 정자일로 95사진 최용준네이버1784 5층 식당 네이버의 신사옥 네이버1784의 5층은 식당만이 아니다. 식사 시간이 지나면 주방 공간의 벽면 패널이 닫혀 차단되며, 업무 공간으로 자유롭게 활용할 수 있다. 비트윈 스페이스는 구내식당에 흔히 사용되는 디자인 문법을 적용하지 않았다. 테이블 위의 작은 펜던트 조명조차
Feature
Designer
Living&Space
-

2022년 11월호
스튜디오 이우 아카이브
디자인 스튜디오 이우 아카이브 오피스(대표 곽영원) 참여 디자이너 이지헌 주소 서울시 용산구 소월로38길 21 사진 MU 스튜디오 이우 아카이브 오피스 공간을 구성하는 조명은 단 3개. 그마저도 덩어리감이 크지 않다. 미미한 빛이 아이러니하게도 강렬한 존재감을 발한다. 스튜디오 이우 아카이브 오피스의 풍경이다. 이곳에 놓인 모든 가구는 조각 오브제 혹은 추상 회화를 닮았다. 가장 먼저 눈에 띄는 것은 천장에서 일직선으로 떨어지는 주전자 걸이
Feature
Product
Designer
-

2022년 11월호
공간지훈
디자인 공간지훈(대표 임지훈) 참여 디자이너 김지수 위치 서울시 서초구 청룡마을길 17-4 사진 박유춘 브루잉이펙트 공간지훈은 심리적 긴장감을 이완시켜줄 평온한 장소를 떠올리며 브루잉이펙트를 디자인했다. 카페가 들어선 곳은 청계산과 인릉산, 구룡산, 대모산이 지척에 있는 자리다. 자연과 가깝다는 인상을 주는 입지적 조건을 갖춘 만큼 전반적으로 밝고 따뜻한 느낌의 우드 톤을 사용했다. 손에 닿지 않는 깊은 바다를 떠올리며 네이비 컬러로 포인트
Living&Space
Designer
Feature
-

2022년 11월호
한국적 내러티브로 가구 만들기 양태오
시카고 미술대학에서 인테리어 디자인을 전공한 뒤, 캘리포니아 아트센터 디자인대학에서 환경 디자인을 공부했다. 마르셀 반더스 밑에서 디자이너로 일했고, 현재 서울 북촌에서 태오양 스튜디오를 운영한다. 파이돈 프레스가 선정한 ‘세계 최고의 인테리어 디자이너 100인’, 아키텍처 다이제스트가 선정한 ‘AD 100’에 이름을 올렸다. 2019년 한방 화장품 브랜드 ‘이스라이브러리’, 2021년
Designer
Product
Feature
-

2022년 11월호
스튜디오 김거실
디자인 스튜디오 김거실(대표 김용철) 주소 서울시 종로구 사직로 133-10 사진 김동규 엠엠에스 몰트위스키와 집시 브루잉, 크래프트 칵테일을 선보이는 엠엠에스(M+MS, Malt & Masterpiece)는 위스키 병마개인 코르크를 조형 언어로 사용해 몰트 바의 아이덴티티를 강화했다. 어두운 조명 아래에서 위스키를 마시다 보면 긴장이 풀리고 느슨해지기 마련인데 다채로운 시각 요소로 촉각적인 경험까지 유도해 좀 더 감각적으로 바를 즐길
Living&Space
Designer
Feature
-

2022년 10월호
콘텐츠 펀딩의 게임 체인저, 와디즈
성수동 공간 와디즈 1층에 전시한 드라마 〈이상한 변호사 우영우〉의 IP를 활용한 다양한 굿즈. 한국 전통 의상을 아카이빙한 〈한국의 복식〉. 크라우드펀딩 플랫폼 사이에서 책과 전자책, 영화·드라마 굿즈를 포함한 각종 콘텐츠형 제품이 강세다. 와디즈에 따르면 2022년 상반기 콘텐츠 분야 펀딩 모집액은 지난해 상반기 39억 원에서 올해 80억 원으로 2배 이상 증가했으며, 프로젝트별 평균 펀딩 모집액은 1200만 원에서 1900만 원으로 약
Graphic
Feature
-

2022년 10월호
금종각 Golden Bell Temple
PROJECT 〈MUT: Street Fashion of Seoul〉 노인의 길거리 옷차림을 기록한 포토그래퍼 김동현의 사진집. 2년 6개월 동안 주말마다 동묘를 드나들며 사진을 찍었다. 6000장의 사진 중에서 고르고 고른 이미지에서는 꽤나 지독하고 고집스러운 기운이 패션 스타일에서 묻어난다. 저마다의 개성이 연륜만큼 쌓여 당당한 에너지를 만들어낸 모양이다. ‘패션은 자신감’이라는 현대식 격언이 농담기 쫙 빼고
Feature
Graphic
-

2022년 10월호
500가지 측면에서 적당한 책, 헤적프레스
1 〈모든 그린이 사라졌다〉 2 〈모든 것과 아무것도〉 3 〈헛수고〉4 〈자소상/트랙터〉 5 〈기억은 뒷면과 앞면을 가지고 있다〉 6 〈열쇠들〉 7 〈주소록 (09-19)〉 2009년의 서울은 스토리지북앤필름 같은 1세대 독립 출판 서점이 생겨나며 새로운 출판의 주체와 활동이 감지되었다. 이제는 독립 서점의 대명사가 되어버린 유어마인드, 그리고 유어마인드가 주최한 ‘언리미티드 에디션-서울아트북 페어’가 처음 열린 때이기도 하다. &
Feature
Graphic