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2022년 10월호
헤비 매거진 Heavy Magazine
PROJECT 〈Manual Mode ‘Growth’〉헤비 매거진이 큐레이팅한 여성 작업자의 작품을 사용자가 직접 고르고 소장할 수 있는 웹사이트와 책과 전시다. 매뉴얼 모드는 사진기에서 수동(manual)으로 조리개의 크기와 셔터 속도를 조절함으로써 노출값을 설정할 수 있는 환경을 뜻한다. 책은 참여 작가의 개별 작품과 각 작품이 레이어링된 이미지를 포함하는 포스터 카드 아카이브 북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참여 작가의 정보와 작품 설
Feature
Graphic
-

2022년 10월호
주위를 환대하는 6699프레스
1 〈서울의 공원〉 2 〈WOOHOO〉 3 〈서울의 목욕탕〉 4 〈한국, 여성, 그래픽 디자이너 11〉 5 〈느릿느릿 배다리씨와 헌책수리법〉 6 〈아침에 눈을 떴을 때 내가 살아있다는 것이 그렇게 고마울 수 없었던 57일간의 산티아고〉 7 〈여섯〉주위를 환대하는 6699프레스 큰따옴표를 이름으로 삼은 그래픽 디자인 스튜디오이자 출판사. 디자이너 이재영이 운영하는 6699프레스가 올해로 10주년을 맞이했다. 디자이너로서 사회에 필요한 목소리를 내고자
Feature
Graphic
-

2022년 10월호
<공공디자인 토론회 2022>
<공공디자인 토론회 2022> 일시 : 2022. 10. 20. 10:00~16:40사전 등록 기간 : ~ 2022. 10. 18.까지 참여 방법 : 공공디자인 종합정보시스템(www.publicdesign.kr)에서 사전 등록 후 Zoom, Youtube 시청문화체육관광부와 한국공예·디자인문화진흥원은 ‘지속 가능한 공공디자인 정책’, &l
Feature
-

2022년 10월호
〈공공디자인 페스티벌 2022〉
〈공공디자인 페스티벌 2022〉 기간 : 2022. 10. 5. ~ 10. 30.장소 : 문화역서울 284 및 전국 80여 곳 문화체육관광부와 한국공예·디자인문화진흥원은 ‘무한상상, OO디자인’이라는 주제로 제1회 〈공공디자인 페스티벌 2022〉를 개최한다. 페스티벌 메인 스폿인 문화역서울 284에서는 주제전 〈길몸삶터–일상에서 누리는 널리 이로운
Feature
-

2022년 9월호
채경선
대학에서 무대미술을 전공하고 〈효자동 이발사〉 〈연애, 그 참을 수 없는 가벼움〉 〈삼총사〉 미술팀 등을 거쳐 2010년 김종관 감독의 〈조금만 더 가까이〉를 통해 프로덕션 디자인 분야에 본격적으로 발을 들였다. 이후 〈도가니〉 〈화이: 괴물을 삼킨 아이〉 〈수상한 그녀〉 〈스물〉 〈남한산성〉 〈말모이〉 〈엑시트〉 〈오징어 게임〉 〈경관의 피〉 등을 맡았다. 2011년 〈조선명탐정: 각시투구꽃의 비밀〉로, 2015년 〈상의원〉으로 대종상영화제 미술상을
Feature
Designer
Living&Space
-

2022년 9월호
김소연
애드가 라이트 감독을 좋아한다. 대학과 대학원에서 무대미술과 영화미술을 공부하고 조화성 감독 밑에서 영화미술팀 막내로 일을 시작했다. 2010년 개봉 영화 〈파괴된 사나이〉의 프로덕션 디자이너로 이름을 올렸고 KBS2 드라마 〈그들이 사는 세상〉을 계기로 드라마 프로덕션 디자인의 길을 걷게 됐다. KBS 아트비전에서 경력을 쌓다가 2017년 독립했으며 주요 작품으로는 〈사랑의 불시착〉 〈미스터 선샤인〉 〈도깨비〉 〈구르미 그린 달빛〉 〈태양의 후예〉 〈
Feature
Designer
Living&Space
-

2022년 9월호
류성희
홍익대학교와 동 대학원에서 도예를 공부했다. 영화 〈엘리펀트 맨〉을 보고 프로덕션 디자이너가 되기로 결심해 1998년 아메리칸 필름 인스티튜드 디자인 과정을 졸업했다. 미국 인디 영화 신에서 경험을 쌓고 귀국해 송일국 감독의 〈꽃섬〉으로 데뷔했다. 〈피도 눈물도 없이〉 〈살인의 추억〉 〈올드보이〉 〈달콤한 인생〉 〈싸이보그지만 괜찮아〉 〈박쥐〉 〈만추〉 등 미장센으로 화제가 된 많은 작품의 영화미술을 담당했고 〈아가씨〉의 프로덕션 디자이너로 제69회 칸
Feature
Designer
Living&Space
-

2022년 8월호
마이리얼트립 롱스테이
10년 전 해외 현지인 가이드 투어를 중개하는 여행 플랫폼으로 출발한 마이리얼트립은 2020년 1월 월 거래액(총 판매액)이 520억 원에 달했으나 코로나19의 직격탄을 맞으면서 그해 4월 10억 원 수준으로 급락했다. 하루에도 1만 건 이상 잡히던 예약이 40건 언저리를 맴돌던 위기 상황. 하지만 마이리얼트립은 이 상황을 체질 개선의 기회로 삼았다. 해외여행 중심의 비즈니스 모델을 국내로 빠르게 전환한 것. 새로운 챌린지를 풀어가는 방식이 트레이닝되어
Living&Space
Feature
-
![[잔디 마케팅팀] 강은정, 김란영, 김도화](https://cdn.designhouse.co.kr/cms/img/2022/08/T3.1661127432.4732.9.jpg)
2022년 8월호
[잔디 마케팅팀] 강은정, 김란영, 김도화
잔디 마케팅팀. (왼쪽부터) 강은정 팀장, 김도화 매니저, 김란영 매니저.최근 잔디의 업무 방식과 서비스 수요에 어떤 변화가 있었나?최근 3년간 업무 환경의 가장 혁신적인 변화를 이끈 주역은 코로나19다. 사무실에 모여 일하는 것이 당연했던 우리의 업무 방식이 단기간 내에 리모트 워크로 뒤바뀌었다. 디지털 노매드를 위한 협업 툴 또한 빠른 전환에 큰 역할을 했다. 실제로 2020년부터 고객 문의가 폭발적으로 늘었고 다양한 경쟁자들이 시장에 합류하기도 했
Designer
Feature
-
![[마이크로소프트 시니어 디자인 리드] 김석우 John Kim](https://cdn.designhouse.co.kr/cms/img/2022/08/T3.1660608356.3788.5.jpg)
2022년 8월호
[마이크로소프트 시니어 디자인 리드] 김석우 John Kim
마이크로소프트 시니어 디자인 리드김석우 John Kim 셰어 포인트, 아웃룩, 팀즈 등 마이크로소프트 앱 사용자가 원하는 콘텐츠를 검색할 경우, 정확도가 높은 검색 결과가 페이지상에 어떻게 나타나는지를 디자인한다.마이크로소프트는 워케이션에 관대한 편인가?조직 내에서도 관리자의 재량이나 팀별 업무 특성에 따라 워케이션에 열려 있는 부서도 있고 아닌 경우도 있다. 처음 배치된 팀은 후자였다. 팀원들이 전부 시애틀에 거주하고 있었기에 오피스 출근을
Feature
Designe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