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2023년 5월호
제로 베이스에서 일궈낸 전기차의 미래
미국 캘리포니아의 프리미엄 전기차 스타트업 ‘루시드 모터스Lucid Motors’는 일명 ‘테슬라의 대항마’로 글로벌 전기차 시장에 새로운 반향을 일으키고 있다. 이곳에서 제니 하Jenny Ha로 불리는 하지연 디자이너는 새로운 자동차 브랜드를 만들 수 있다는 점에 매료되어 유서 깊은 자동차 기업에서의 커리어를 뒤로하고 루시드 모터스로 이직을 결심했다. 무에서 유를 창조한 그에게 모빌리티 혁신의 최전선에서 일하
Feature
Designer
Product
-

2023년 5월호
'포르쉐다움'을 재해석하는 디자인
“내가 꿈꾸는 차를 찾을 수 없었다. 그래서 직접 만들기로 결심했다.” 포르쉐의 2대 경영인 페리 포르쉐Ferry Porsche의 말처럼 포르쉐는 고객들의 꿈을 실현시키는 럭셔리 스포츠카 브랜드로 자리 잡았다. 75년간 장인 정신으로 구축한 디자인 언어는 멀리서도 브랜드를 알아볼 수 있는 시그너처 포인트가 되었다. 하지만 모빌리티업계를 뒤흔드는 변화 앞에서도 본연의 모습을 유지할 수 있을까? 지난 4월 잠시 귀국한 포르쉐 외장 디자
Feature
Product
Designer
-

2023년 5월호
모빌리티 스타트업의 요람, 더 드라이버리
더 드라이버리에서만 만날 수 있는 ‘메이커 가라지 스튜디오’. 복층 구조의 공간에서는 모빌리티 소프트웨어 개발과 하드웨어 제작을 위한 실시간 소통이 가능하다. 독일 베를린 템펠호프 우퍼에 자리한 ‘더 드라이버리’는 모빌리티 스타트업을 위한 코워킹 스페이스를 운영하는 기업이다. 공유 사무실로 알려진 글로벌 기업 ‘위워크’나 국내의 ‘패스트파이브’처럼 개인과 기업에 사무
Feature
Product
-

2023년 5월호
차원이 다른 대범한 상상, 도심 항공 모빌리티
©현대자동차그룹 슈퍼널Supernal 현대자동차그룹의 미국 내 도심 항공 모빌리티 독립 법인. 2019년 UAM 사업부로 신설된 뒤 다음 해 CES에서 콘셉트 모델 ‘S-A1’을 공개했다. 8개의 로터를 탑재한 모델로, 활주로 없이 수직 이착륙이 가능하며 조종사 포함 총 5명이 탑승해 최대 약 100km까지 비행할 수 있다. 지난해에는 세계 2대 에어쇼 중 하나인 영국의 판버러 에어쇼에 참여해 인테리어 캐빈 콘셉트를 공
Feature
Product
-

2023년 5월호
자율 주행 기술 6단계, 쉽게 알려드립니다
레벨 0. 비자동화(No Automation) 운전자의 개입을 필수로 하는 자율 주행 시스템의 가장 기초 단계. 전방 충돌 방지 보조, 후측방 충돌 경고 등의 긴급 상황을 알려주는 정도로 개입한다. 레벨 1. 운전자 보조(Driver Assistance) 흔히 직선형 고속도로를 달릴 때 사용하는 크루즈 기능이라고 알려져 있다. 운전자가 반드시 운전대를 잡고 조정해야 하는 것을 전제로 한다. 자동차의 속도와 거리를 유지하고 차선 이탈을 방지하는
Feature
Product
-

2023년 5월호
귀여운 디자인의 질주, 자율 주행 공유형 PBV
서울 | 42dot의 aDRT 지난해 현대자동차가 인수해 화제가 된 42dot은 2021년 상암동 일대에서 자율 주행 택시 서비스 ‘TAP!’을 운행한 데 이어 지난 11월부터 청계천에서 8인승 전기 버스 ‘aDRT’를 운행하기 시작했다. 현대자동차와 협업해 디자인한 aDRT는 앞뒤, 좌우가 대칭 형태로, 착석한 탑승객의 시선 구도를 고려해 개방감을 주는 파노라마 선루프를 장착했다. 또 좌석별로 USB 포트
Feature
Product
-

2023년 5월호
자율 주행 공유형 PBV 시대의 서막, 현대모비스
현대모비스 엠비전 하이. 자율 주행 기술이 도입되면서 운전자 중심에서 목적 중심으로 자동차의 패러다임이 바뀌고 있다. PBV(Purpose Built Vehicle)는 대중교통, 화물 운송, 여가 등 운행 목적에 맞게 설계한 ‘목적 기반 모빌리티’를 말한다. 지난해 발표한 완성차업계 자료에 따르면, 2020년만 하더라도 PBV 글로벌 연간 판매량이 32만 대 규모로 신차 수요의 5%에 불과했지만, 연 평균 30% 이상 성장해 202
Feature
Product
-

2023년 5월호
우리 집 초인종을 울리는 새로운 이웃, 배달 로봇
©현대자동차그룹 현대자동차그룹 로보틱스랩의 실내외 배송 로봇 실내외 배송 로봇은 자동차 기술의 집약체이자 현대자동차그룹의 확장 가능성을 보여주는 대표 사례이다. 몸체는 원기둥 형태로 자체 개발한 이동 모듈을 장착해 모든 방향으로 안정적으로 이동 가능하다. 구동부에 부착된 LED로 사용자가 손쉽게 충전 상황을 파악할 수 있다. 지난해 12월 광교 앨리웨이와 화성 롤링힐스 호텔에서 자율 주행 배송 서비스 실증 사업을 진행했다. robotics
Feature
Product
-

2023년 5월호
친근함으로 문을 연 로보토피아, 뉴빌리티
개발 단계에서 그린 디자인 스케치. 작고 귀여운 외모로 물건을 싣고 천천히 달려가는 로봇. 최근 2~3년 사이 가끔씩 마주치는 이 이동 장치의 정체는 단거리 자율 주행 로봇이다. 골목을 누비며 고객의 집 앞까지 도착하는 ‘라스트 마일Last Mile’ 배송 서비스에 활용된다. 많은 모빌리티 기업이 그러하듯 주로 미국에 제조사가 포진해 있고, 유럽에서도 배달 로봇 사용화를 적극적으로 추진 중이다. 이러한 가운데 국내 자율 주행 로
Product
Feature
-

2023년 5월호
블루 오션으로 뛰어든 날렵한 드라이브, 전기 바이크
카탈리스Katalis의 스페이스바 콰트로P 에디션 카탈리스는 바이크 커뮤니티에서 만난 이들이 ‘Z세대를 위한 바이크’를 만들겠다는 목표하에 2018년 설립한 인도네시아의 스타트업이다. 무엇보다 제2차 세계대전 당시 전투기 디자인과 전동화 기술을 결합한 점이 눈에 띈다. 그중 2021년에 공개된 모델 ‘스페이스바 콰트로P Spacebar Quatro-P 에디션’은 직장인을 위한 통근용 바이크로, 텍스트 사이에
Feature
Produc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