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2023년 1월호
<모던 데자인: 생활, 산업, 외교하는 미술로>전
‘데자인 시대의 표어들’(2022). 1950~1960년대 디자인에 관한 텍스트를 동시대 디자이너 10팀이 재해석한 레터링 작품이다. 김기조, 김진희, 김태헌, 김현진, 박신우, 박철희, 워크스, 장수영, 함민주, 현승재가 참여했다. 〈모던 데자인: 생활, 산업, 외교하는 미술로〉 기간 2022년 11월 23일~3월 26일 장소 국립현대미술관 과천 전시 기획 이현주 전시 디자인 김소희, 홍예나 그래픽 디자인 이건정 &
Designer
Graphic
-

2023년 1월호
서정적으로 펼쳐지는 빛의 변주
(왼쪽부터) 박근호, 이영호 이함 캠퍼스에서 열리고 있는 〈사일로랩 AMBIENCE〉전. 해가 물에 반쯤 잠긴 풍경을 연출한 ‘파동’은 수면 위로 잔잔하게 그려지는 동심원을 바라보며 물멍에 빠져들기에 좋다. 몰입형 미디어 아트 전시가 디지털 시대의 포토 존이 된 지 오래다. 초기에는 고흐, 클림트 등 누구나 알 만한 화가들의 원작을 영상으로 재구성하는 경우가 많았지만 근래 들어서는 디스트릭트의 아르떼뮤지엄, DDP에서 열린 〈팀
Designer
Feature
Living&Space
Digital
-

2023년 1월호
〈2022-2023 디자인 스페셜리스트〉
2010년부터 격년으로 월간 〈디자인〉이 발행하는 〈디자인 스페셜리스트〉는 실력 있는 디자인 전문 회사를 찾는 클라이언트라면 꼭 챙겨 봐야하는 웰메이드 포트폴리오집이다. 이번에 발간한 여섯 번째 〈2022-2023 디자인 스페셜리스트〉는 총 295쪽으로 구성되었으며 2022 서울디자인페스티벌에서 첫선을 보였다. 계선, 네임드, 바이석비석, 프로젝트렌트, 바우드, 브렌든, 플러스엑스, 스튜디오 HOU, 헤즈 등 디자인 전 분야에 걸쳐 내로라하는
Designer
-

2023년 1월호
한번에 펼쳐지는 옷의 미학, 펀투웨어!
지난해 4~6월, 일민미술관 〈언커머셜Uncommercial〉 전시 기간 동안 벽면을 가득 채운 포스터가 광화문 세종대로사거리를 오가는 사람들의 이목을 끌었다. 더 정확히 말하자면 원판이 반복되는 구조적인 실루엣이 두드러지는 의상을 입은 모델을 중심으로 다양한 아티스트들이 분주하게 작업하는 모습을 담은 포스터 속 사진이다. 패션 브랜드 선우SUN WOO를 이끄는 장선우 디자이너가 바로 이 포스터 속 의상을 만든 장본인이다.선우 2022 ‘하이
Feature
Designer
Product
-

2023년 1월호
아윤채 패키지 리뉴얼 디자인
리뉴얼 총괄 아모레퍼시픽 그룹 아모스 디자인팀브랜드 패키지 디자인 김지윤스튜디오(대표 김지윤), jiyounkim.com살롱 퍼포먼스 라인 패키지 디자인 디자인모멘텀(대표 황지아), designmomentum.org 헤어 솔루션 브랜드 아윤채는 2021년 4월 대대적인 리뉴얼을 시행했다. 아윤채는 헤어 살롱에서 만나볼 수 있는 브랜드로, 전문 헤어 디자이너들의 손을 거쳐 일반 고객이 체험하게 된다. 기존에는
Designer
Product
-

2023년 1월호
플랫폼 바깥에선 무슨 일이 일어나고 있나요?
(왼쪽부터) 윤충근, 이지수. 이소현은 라이프치히에서 수학 중이다. 새로운 질서 그 후, ‘대체 미술관’, altmuseum.org 2022년 10월 카카오의 데이터 센터 화재로 단 하나의 플랫폼이 사회 전반을 지탱한다는 것이 얼마나 위험한 일인지 전 국민이 체험했다. 그러나 카카오는 단 두 달 만에 월 이용자 수가 원만하게 회복됐는데, 이런 일이 두 번 다시 일어나지 않을 것이라는 신뢰 때문은 분명 아닐 것이다. &lsquo
Feature
Designer
Digital
-

2022년 12월호
2022 한국 디자인 연감
자부한다. 현재 대한민국에서 이처럼 수많은 디자이너, 다양한 분야의 디자인 결과물을 해마다 한 권의 책으로 집대성한 프로젝트는 〈한국 디자인 연감〉밖에 없다고. 혹자는 묻는다. 어차피 웹이라는 망망대해에 정보가 무한히 널려 있는데 왜 아직도 이렇게 고전적인 방식을 선택하느냐고 말이다. 그것은 책이야말로 월간 〈디자인〉이 디자인계에 바치는 최고의 헌사이자 2022년 한 해를 기리는 최상의 방법이기 때문이다. 코로나19의 여진과 심각한 경기 저하로 녹록지
Feature
Designer
-

2022년 12월호
푸하하하 프렌즈 : 서교동 콘크리트 상가
스페이스 부문에서 카페와 스테이의 비중이 이토록 높은 적이 있었을까? 올해 출품작은 현대건축의 시대성을 고스란히 반영했다는 점에서 대체로 흥미롭다는 평이었다. 상업 공간 또한 건축의 주요한 작업 대상이 된 오늘날 젊은 건축가들이 자신의 대표작으로 이를 내세우며 기존 건축가가 행하지 않은 퍼포먼스로 새로운 흐름을 만들어내기 때문이다. 이런 맥락에서 심사위원들이 주목한 작품은 대구 미래농원과 호지. 모두 셸터라는 기본 단위에서 출발한 프로젝트로 땅과 재료,
Feature
Designer
Living&Space
-

2022년 12월호
아티작 : 도큐먼트 케이스
1인 가구가 증가하면서 과거에 비해 이들을 타깃으로 한 가구 출품작도 확연하게 늘어났다. 이전에는 거실에 4인용 소파가 한자리를 차지하고 있었다면 이제는 좁은 공간에 걸맞게 미니멀한 오브제 형태로 거주자의 개성을 드러낼 수 있는 1인용 가구를 찾는 소비자가 많아졌다는 이야기다. 재료를 가공하는 방식에서도 본연의 물성을 최대한 살려 공간 속에 자연스럽게 어우러지도록 한 타임리스 디자인이 두드러졌다. 라이프스타일 위너를 차지한 아티작의 ‘도큐먼트
Designer
Feature
Product
-

2022년 12월호
기업가치혁신상 SK디앤디 - 1
부동산 개발과 디자인. 둘 사이의 거리가 해를 거듭할수록 좁혀지고 있는 양상이다. 오랜 세월 부동산 개발의 핵심은 면적 대비 효율을 통한 이윤 창출이었지만, 이제는 패러다임의 전환이 이루어지고 있다. 오늘날 많은 디벨로퍼 기업들이 다양한 창작자와 협업해 심미성과 사용성을 충족하는 디자인 프로젝트를 선보이고 있다. 올해 기업가치혁신상을 수상한 SK디앤디(SK D&D)는 이러한 변화의 최전선에 있는 디벨로퍼 기업이다. 2017년 RESI 솔루션 운용
Designer
Feature
Living&Spac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