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2022년 12월호
신나리, 윤여름, 황다현 : HHHA.online
팬데믹 이후 디지털의 특징으로 ‘연결’의 유용함은 공인되었다. 물리적으로 가닿기 힘든 거리의 사람들을 연결시키고, 오프라인에서는 ‘들어가는 문이 어디 있는지 알 수 없던’ 커뮤니티들의 존재를 알리고 빠르게 형성시켰다. 2022 코리아디자인어워드 디지털 분야 위너로 선정된 컬렉티브 그룹 ‘HHHA’의 알파벳 프로젝트는 서로 다른 나라와 도시에서 활동하는 여성 그래픽 디자이너들의 협업으로 이러
Feature
Designer
Digital
-

2022년 12월호
베스트 영 디자이너 2022
다재다능한 시각예술가의 디자인 실험 이민아 하이메 아욘이 한국에서 태어났다면 아마 이런 스타일의 작업을 하지 않았을까? 이민아의 작업물을 처음 마주한 심사위원들의 공통된 감상 평이었다. 이민아는 자기 자신을 시각예술가로 정의한다. 더 정확히 말하면 ‘마음의 표면에 떠다니는 조각을 관찰하고 수집하는 창작자’다. 사람의 심리를 기반으로 다양한 장르를 넘나들며 상상을 현실로 옮기는 그에게 예술과 디자인의 구분은 큰 의미가 없는 듯하다
Designer
Feature
-

2022년 12월호
워크룸 : <한국에서 가장 아름다운 책>전
2022 코리아디자인어워드 그래픽 분야에서는 크게 책과 전시 디자인이 눈에 띄었다. 위너는 워크룸의 〈한국에서 가장 아름다운 책〉전으로 선정했지만, 의견을 모으기 힘들 만큼 우수한 작품이 많았다. 디자이너 이경민의 ‘제10회 디아스포라영화제’는 역대 디아스포라영화제 디자인 중 가장 훌륭하다는 평을 받았다. 직조를 모티프로 공식 포스터와 구조물 ‘환대의 광장’ 등에 적용해 영화제가 추구하는 ‘엮어가는&
Feature
Designer
Graphic
-

2022년 12월호
아키모스피어 : 네이버 1784 로비
현재 국내 디자인 신에서 가장 필요한 가치는 ‘다양성’인 듯하다. 올해 인테리어 분야 출품작의 완성도는 전체적으로 높아졌으나 심사위원들은 유행과 흐름에 편승한 경우가 너무 많아 독창성이 부족해 보인다고 입을 모았다. 디자이너 고유의 세계가 느껴지지 않기에 작품의 질적 수준은 높아졌어도 힘 있는 공간을 찾기 힘들다는 게 공통된 의견이었다. 공간의 본질을 이해하기보다는 불필요한 미사여구로 장식하는 경향이 강하다는 우려의 목소리
Feature
Designer
Living&Space
-

2022년 12월호
현대백화점 브랜드 전략팀 : 프로젝트 100
기업과 서비스, 개인 등 가리지 않고 ‘브랜드’가 되는 것을 추구하는 가운데 가치를 전달하는 일이 중요해지고 있다. 이 가치를 전달하는 일은 외부뿐 아니라 내부 구성원을 향하고 있기도 하다. 브랜드 분야에서 완성도 높은 웰컴 키트나 자체 제작한 스테이셔너리를 다수 찾아볼 수 있는 이유도 그 때문이다. 위너에 선정된 현대백화점의 ‘프로젝트 100’은 럭셔리한 이미지를 고수하던 백화점의 변화를 보여준다. 운영상 생
Feature
Designer
Graphic
-

2022년 12월호
아이스크림 홈런 2.0 프로젝트 2
(왼쪽) 박웅현 TBWA 조직문화연구소 대표와 이윤석 아이스크림에듀 대표. “부모와 아이 모두 만족할 수 있는 디자인을 하는 것이 앞으로 교육업계에서 중요한 과제인 것 같습니다.” _박웅현 TBWA 조직문화연구소 대표 이윤석 11월 1일에 아이스크림 홈런 2.0을 정식으로 공개하고, 광고도 순조롭게 차례대로 선보이게 되어 뿌듯합니다. 올해 1월에 프로젝트 제안을 드린 이후 벌써 열 달이 지났네요. 처음 아이스크림 홈런 2.0 학
Product
Designer
-

2022년 12월호
한아조 : 유네스코 세계유산협약 50주년 비누 세트
제품 분야 심사에서 화두에 오른 것은 스토리텔링이었다. 이는 국내 디자인계의 수준이 상향 평준화되었음을 의미하는 것이기도 하다. 심사위원들은 미감과 기능성의 수준 차이가 크지 않은 상황에서 새로운 변별력이 필요해졌고 결국 사용자의 마음을 사로잡는 창의적인 이야기가 그 열쇠라고 입을 모았다. 한국성을 드러내면서 누구나 알고 있는 문화유산을 창조적인 방식으로 재해석한 한아조×유네스코위원회의 ‘유네스코 세계유산협약 50주년 비누 세트&r
Product
Designer
Feature
-

2022년 12월호
2022 서울디자인페스티벌
제21회 서울디자인페스티벌 기간 12월 20~23일 장소 코엑스 3층 C홀 주최 디자인하우스 주관 월간 〈디자인〉후원 산업통상자원부, 서울특별시, 한국디자인진흥원, 한국공예·디자인문화진흥원, 서울디자인재단지난해 성인식을 치른 서울디자인페스티벌이 한층 성숙한 모습으로 돌아온다. 월간 〈디자인〉의 콘텐츠와 국내외 디자인 분야 네트워크에 기반한 이 크리에이티브 축제는 국내 디자인 경쟁력 강화를 목표로 기획했다. 디자이너의 아이디어가
Designer
Living&Space
-

2022년 11월호
플랏엠
옴니디자인과 라이프스타일일공일에서 실무를 익힌 선정현이 2005년 설립한 디자인 스튜디오. 플랏엠은 누구와도 관계 맺기를 할 수 있는 익명의 ‘M동’이라는 뜻. 홍대 산울림소극장 1층에 위치한 카페 수카라와 국내 1세대 리빙 편집숍 루밍, 패브릭 브랜드 키티버니포니, 제로컴플렉스, 그라더스, 식스티세컨즈, 플라츠2 등의 공간과 가구 디자인, 기획을 맡았다. 선정현, 조규엽 2인 체제를 유지하며 2016년부터 ‘논픽션홈&
Living&Space
Feature
Designer
-

2022년 11월호
비트윈 스페이스
디자인 비트윈 스페이스(대표 김정곤·오환우)참여 디자이너 양혜진, 이현정, 윤주원, 정양훈, 안태영주소 경기도 성남시 분당구 정자일로 95사진 최용준네이버1784 5층 식당 네이버의 신사옥 네이버1784의 5층은 식당만이 아니다. 식사 시간이 지나면 주방 공간의 벽면 패널이 닫혀 차단되며, 업무 공간으로 자유롭게 활용할 수 있다. 비트윈 스페이스는 구내식당에 흔히 사용되는 디자인 문법을 적용하지 않았다. 테이블 위의 작은 펜던트 조명조차
Feature
Designer
Living&Spac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