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2023년 5월호
디자인 서울 스토리: 인터뷰로 만나는 디자인 100년
데이터 사회로 이행할수록 아카이브의 중요성은 날로 커진다. 축적된 시간의 지층을 파악하고 맥락을 이해하는 일이 중요해진 것이다(아카이브의 어원이 그리스어로 ‘통치하다archeîn’라는 의미인 것은 그런 차원에서 의미심장하다). 서울디자인재단이 최근 선보인 영상 ‘디자인 서울 스토리: 인터뷰로 만나는 디자인 100년’이 뜻깊게 느껴지는 이유이기도 하다. 총 37편으로 이뤄진 이번 시리즈는 역사적으
Designer
Feature
-

2023년 4월호
민속을 동시대적 감각으로 보여준다는 것
지난 3월 2일 종료한 기획 전시 〈길상특별전: 그 겨울의 행복〉 전시장에서 촬영했다. 건국대학교에서 산업 디자인을 전공하고 홍익대학교에서 공간 디자인으로 석사 및 박사 과정을 마쳤다. 2006년 국립민속박물관에 입사해 지금까지 학예연구사로 전시 디자인 업무를 맡고 있다. 그가 디자인한 〈한국인의 일 년〉을 주제로 한 상설 전시관 2는 국내 박물관에 시각장애인을 위한 전시 기법을 적극적으로 도입한 첫 사례로 꼽힌다. @__yoominji__ &ldqu
Feature
Designer
Living&Space
-

2023년 4월호
미술관 개관과 아이덴티티 구축에 최적화된 해결사
오는 5월 개관하는 국립세계문자박물관 로비에 설치된 안마노 디자이너의 영상 작품을 배경으로 촬영했다. 홍익대학교와 동 대학원에서 제품 디자인과 공간 디자인을 전공하고 서울대학교 디자인 역사 문화 전공에서 박사과정을 수료했다. 국립고궁박물관을 거쳐 2012년부터 국립현대미술관에서 전시 디자이너로 일한다. 국립현대미술관 서울관 및 청주관, 세계문자박물관 개관에 참여했다. behance.net/choiyoujin “영화와 마찬가지로 전시라는 서사
Feature
Designer
Living&Space
-

2023년 4월호
필연으로 가득 채운 일시적 공간 짓기
전시 〈김윤신: 더하고 나누며, 하나〉가 열리고 있는 서울시립남서울미술관에서 촬영했다. 공간 디자인을 공부했으며 국립현대미술관에서 전시 디자이너로 근무했다. 현재는 계원예술대학교 전시디자인과 외래 교수이자 전시디자인 스튜디오 ‘TBD(To Be Determined) 프로젝트’를 운영하면서 미술관과 박물관을 비롯한 해외 문화원에서 전시디자인 활동을 이어가고 있다. @mhl_0717 “ 모든 전시는 반드시 끝이 있고, 끝나
Feature
Designer
Living&Space
-

2023년 4월호
큐레이터 출신의 전시 디자이너
사진을 촬영한 서울시립미술관 서소문본관은 전시 디자이너로 가장 많은 시간을 보낸 장소다. 논스탠다드 스튜디오 논스탠다드 스튜디오 대표. 홍익대학교에서 건축을 전공하고 로드아일랜드 디자인 스쿨에서 실내 건축 전공으로 석사, 서울대학교 대학원에서 ‘유희적 상호작용 증진을 위한 미술관 전시 디자인 모델 연구’로 디자인학 박사 학위를 취득했다. 큐레이터로 시작한 업력과 1년에 100건 이상의 전시를 관람하고 기록하는 애정이 현재
Designer
Feature
-

2023년 4월호
유물 보존에서 ESG 경영까지
지난 12월 새롭게 개편한 국립중앙박물관 기증1실에서 촬영했다. 기증품을 감상하며 휴식할 수 있는 이곳의 디자인은 리슨커뮤니케이션(대표 김상윤)과 협업했다. 홍익대학교 공간 디자인 전공으로 박사 과정을 수료했다. 공간건축의 실내 건축설계 디자이너였던 그는 2002년 국립중앙박물관 건립사업팀에 합류하며 전시 디자이너로서 새로운 커리어를 시작했다. 2006년 국립민속박물관으로 옮겨 그곳 전시 디자인의 기초를 다지고 현재는 국립중앙박물관 디자인팀에서 디자인
Designer
Feature
-

2023년 4월호
전시라는 무대를 빛나게하는 조력자, 전시 디자이너
전시장에서 ‘무엇을(what)’ 전시했는지에 대한 논의는 활발한 반면 ‘어떻게(how)’ 전시품을 보여주는지에 대해서는 주의를 기울이지 않는 경우가 많다. 하지만 모든 작품은 전시 디자이너의 해석을 거쳐 전시장에 설치된다. 각각의 오브제를 벽에 걸지, 전시대에 놓을지, 아니면 공중에 매달지는 전시 디자인 과정에서 결정된다는 이야기다(물론 큐레이터, 작가와의 커뮤니케이션이 전제되어야 겠지만). 앞으로 소개할 5명
Designer
Feature
-

2023년 4월호
최중호스튜디오 최중호 대표
최중호스튜디오 대표. 건국대학교 산업디자인학과에 재학 중이던 2008년 후배들과 디자인 그룹 아이디얼그라피를 결성했고, 이듬해 디자인한 ‘청사초롱’ 조명이 〈디진DeZeen〉 등 해외 온라인 미디어에 소개되며 이름을 알리기 시작했다. 일찍이 최중호스튜디오를 오픈하는 한편 팬택에 입사해 스튜디오 운영과 인하우스 디자인을 병행했다. 팬택 신입 시절에는 팬택의 밀리언셀러 ‘베가 레이서’를 디자인하기도 했다. 3M,
Designer
-

2023년 3월호
이머시브 아트로 만나는 데이비드 호크니, 라이트룸
Installation of David Hockneys \"The Arrival of Spring in Woldgate, East Yorkshire in 2011 (twenty eleven)\" Oil on 32 canvases (36 x 48\" each), 144 x 384\" overall, ©David Hockney Collection Centre Pompidou, Paris. Musée national d’art
Designer
Living&Space
-

2023년 3월호
로우로우 이의현 대표
성수동 월드와이드 서울에서. 트립 웨어 브랜드 로우로우와 지난해부터 이의현 대표가 디렉팅을 맡은 글로벌 캐주얼 브랜드 노티카를 비롯해 하루타, 빅토리아, 그라미치 등 로우로우의 프렌즈 브랜드들이 495m² 규모의 매장을 채우고 있다. 로우로우 대표. 패션 MD 출신으로 동양그룹 패션사업부문 매그앤매그의 최연소 사업기획팀장을 거쳐 2011년 로우로우를 창업했다. 가방으로 시작해 신발, 안경, 여행용 트렁크 등 잡화로 라인업을 확장했다. 2015
Designer
Produc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