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2023년 3월호
이머시브 아트로 만나는 데이비드 호크니, 라이트룸
Installation of David Hockneys \"The Arrival of Spring in Woldgate, East Yorkshire in 2011 (twenty eleven)\" Oil on 32 canvases (36 x 48\" each), 144 x 384\" overall, ©David Hockney Collection Centre Pompidou, Paris. Musée national d’art
Designer
Living&Space
-

2023년 3월호
DSC커넥트 지역혁신라운지 아산
DSC커넥트 지역혁신라운지 내부. 2021년 출범한 DSC지역혁신플랫폼은 교육부가 추진하는 ‘지자체-대학 협력 기반 지역혁신사업’을 위해 지자체와 대학, 기업, 국책 연구소, 기관 등이 협업해 꾸린 조직이다. 이곳은 5년간 국비와 지방비 약 3500억 원을 투입해 연간 7000명 이상의 모빌리티 산업 인재를 양성하고, 기업 기술 개발 지원 및 창업 생태계 조성을 통해 지역 균형 발전을 도모하는 대형 국책 프로젝트를 수행하고 있다. DSC지역혁신플랫폼이
Living&Space
-

2023년 3월호
옛 공간 사옥과 조화를 이루는 아라리오갤러리 서울 신관
공간 디자인 스키마타 건축(대표 조 나가사카), schemata.jp 주소 서울시 종로구 율곡로 85 사진 제공 아라리오갤러리 1세대 건축가 김수근의 대표작, 공간 사옥은 2014년 아라리오 뮤지엄 인 스페이스로 재개관한 이래 문화예술의 전초기지로 자리매김했다. 그런데 최근 새로운 공간 하나가 가세했다. ‘볼재’라는 이름으로 부르던, 뮤지엄과 주차장 사이에 위치한 오피스 건물을 아라리오갤러리 서울 신관으로 리뉴얼 오픈한 것
Living&Space
Feature
-

2023년 2월호
더현대 대구 리뉴얼 프로젝트
더현대 대구 9층에 위치한 ‘더 포럼 by 하이메 아욘’. 오른쪽 원형 공간이 콜로세움이다. 문을 콘셉트로 한 실외 조각 공원 ‘게이츠 가든’. 서울의 쇼핑 지형도를 바꿔놓은 더현대 서울이 오픈한지 어느덧 2년이 흘렀다. MZ세대를 타깃으로 한 콘텐츠 큐레이션과 버디필렉Burdifilek을 비롯한 국내외 유수의 디자인 회사가 창출한 스펙터클한 경험 공간이 성공 요인이었다. 그리고 지난 12월, 새롭게 리뉴얼한
Living&Space
Designer
-

2023년 2월호
영롱한 빛깔로 빚은 ‘보스베이글웍스’
©박길종, 신동환공간 디자인 길종상가(대표 박길종), bellroad.1px.kr시공 소펀 디자인스테인드글라스 제작 진영글라스VMD 도움 김지현주소 서울시 서초구 서초대로25길 54길종상가가 카페 보스베이글웍스의 공간 디자인을 완성했다. 프리미엄 프랑스 밀가루를 사용해 반죽하고 20시간 이상 저온에서 숙성한 후 화덕에서 고온으로 단시간 구워 부드러움과 쫀득함을 극대화한 베이글을 선보이는 곳이다. 디자이너는 의뢰받고 클래식하면서도 따뜻한 느낌의
Living&Space
-

2023년 2월호
빌라 메디치
©Daniele Molajoli 1544년 르네상스 시대에 지은 빌라 메디치는 예술가의 체류 및 상주를 도우며 이들을 양성하는 기관이다. 1803년 나폴레옹이 루이 14세가 설립한 ‘로마의 프랑스 아카데미(l’Académie de France à Rome)’를 빌라 메디치로 이주시키며 프랑스의 젊은 화가를 로마로 유학 보내기 시작한 전통이 지금까지 내려오는 것이다. 아카데미의 수장이었던
Living&Space
-

2023년 2월호
뮤지엄한미 삼청
©김재경 건축 기오헌 건축사사무소(대표 민현식) 주소 서울시 종로구 삼청로9길 45 한미사진미술관이 20주년을 맞이해 뮤지엄한미 삼청으로 재탄생했다. 새 터전에 들어선 뮤지엄한미 삼청의 목표는 ‘사진 예술의 확장과 다가가는 미술관’이다. 디지털 이미지의 등장으로 많은 것이 바뀐 21세기 사진 매체의 모든 것을 수용하고자 한다. 장소 특정적 미술, 개념 미술, 사진을 기원으로 발전한 뉴미디어 영상까지 전시 대상을 확장
Living&Space
-

2023년 2월호
성 니콜라스 그리스 정교회 성당
사진 Alan Karchmer for Santiago Calatrava 9.11 테러로 파괴된 성 니콜라스 그리스 정교회 성당이 건축가 산티아고 칼라트라바의 디자인으로 지난해 12월 다시 문을 열었다. 성당의 돔은 성 니콜라스(산타클로스가 여기서 유래되었다)의 갈비뼈 40개를 상징하는 40개의 뼈대와 창문으로 지었고, 어둠 속에서도 꺼지지 않는 희망을 상징하는 조명으로 건물 내부뿐 아니라 외부까지 환하게 빛을 내뿜도록 했다. 4개의 타워로 이
Living&Space
-

2023년 2월호
2023 호텔페어
웹 3.0 호텔 라운지 & 공간 트렌드. 호텔·리조트업계가 그 어느 때보다 다채로운 신을 형성하고 있다. 공간의 소비가 단순한 숙박을 넘어 경험과 향유로 확장되었으며 고객의 경험 방식이 개인화되고 고도화된 만큼 콘텐츠도 풍성해졌기 때문이다. 또 호텔 개발부터 건축과 시공, 운영을 위한 각종 자재와 비품, 서비스 및 솔루션에 끊임없이 신기술이 도입되고 있는데 이는 숙박 산업의 질적 성장을 가속화시켰다. 그렇다면 2023년 호텔과 스테이
Living&Space
-

2023년 2월호
아틀리에 에크리튜 김재원 대표
영화 〈현기증〉의 타이틀 디자인으로 유명한 미국의 그래픽 디자이너 솔 배스Saul Bass가 이런 말을 한 적이 있다. “아무도 신경 쓰지 않는다 해도 나는 아름다운 것을 만들고 싶다.” 그런데 디자인 거장의 격언에도 불구하고 디자이너에게 각인된 이런 본능은 그동안 철부지 취급을 받기 일쑤였다. 타협을 모르는 완성도를 향한 집념은 으레 현실 감각이 떨어진다는 취급을 받았다. 하지만 고집스럽게 자신의 감도 높은 취향을 대중에게 들이미
Living&Space
Designe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