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2023년 5월호
시네마 스토어 마이페이보릿 서울점 오픈
군산의 영화 포스터 숍 ‘마이페이보릿’이 서울에 상륙했다. 해외 영화 포스터를 정식으로 구매할 수 있는 오프라인 숍의 등장이 반갑다. 얼마 전 ‘N차관람’을 일으킨 〈슬램덩크〉는 물론 〈메리크리스마스 미스터 로렌스〉같은 고전 영화 포스터 또한 구매할 수 있다. 두 번째 매장인 서울점을 오픈하면서 로고 또한 리뉴얼했다. 직관적인 서체가 마치 가로로 긴 휘장처럼 웅장한 느낌으로, 1980~1990년대 할리우드의 영
Living&Space
-

2023년 5월호
뮤지엄 산 10주년 기념 〈안도 타다오-청춘〉전
나오시마의 지추 미술관. Chichu Art Museum, Naoshima, 2004 ©Tadao Ando Architect & Associates상업 거래소가 현대미술관으로 탈바꿈한 부르스 드 코메르스Bourse de Commerce. Bourse de Commerce, 2021 Photo by Yuji ONO〈안도 타다오-청춘〉전.“누구나 쉽게 구할 수 있는 재료로 아무나 만들 수 없는 건축을 만들고 싶었
Living&Space
-

2023년 5월호
LCDC SEOUL
LCDC SEOUL 외관. 자동차 정비 공장과 구두 공장이 다양한 이야기가 공존하는 문화 공간으로 진화했다. 오늘날 서울은 그야말로 힙 플레이스의 천국이다. 연일 트렌디하고 매력적인 공간이 쏟아지니까. 하지만 대부분 반짝 인기에 그치고 만다. 소리 소문 없이 기억에서 사라진 공간이 어디 한둘인가. 이 도시는 화려한 연출과 순간의 눈요기만으로는 공간의 지속 가능성이 충족되지 않는다는 사실을 깨달아가는 중인 듯하다. 그렇다면 지속 가능한 공간은 어떻게 성취
Living&Space
-

2023년 5월호
제14회 광주비엔날레 파빌리온
지금 광주는 지구 안의 또 다른 지구다. 4월 7일 14번째 광주비엔날레가 개막하며 세계 각국의 예술가와 작품들이 모여들었다. 7월 9일까지 열리는 이번 광주비엔날레의 주제는 ‘물처럼 부드럽고 여리게’. 노자의 〈도덕경〉 ‘유약어수(柔弱於水)’에서 차용한 것으로, 예술총감독 이숙경은 “물은 예술가만이 할 수 있는 예술의 힘을 상징한다”며 “물처럼 예술에도 서서히 길을 전환시키는
Designer
Living&Space
-

2023년 5월호
아뜰리에 에르메스 〈토끼의 질주〉전
2013년 작 ‘Babel 19’. 토끼가 질주한다. 그러나 전시장에는 토끼가 없다. 대신 피카소와 마티스, 잭슨 폴록 등 지난 100년을 떠들썩하게 만들었던 화가들을 연상시키는 흔적만 있을 뿐이다. 잠시 무언가를 지시하는 듯 보였던 물감은 어느새 형체 없이 투명한 표면 위에 ‘곡예하듯’ 쌓이거나 아예 캔버스를 벗어나 흰 벽 위로 달려 나간다. 물감의 흔적은 앨리스의 토끼가 바쁘게 남기고간 궤적처럼 보이는가 하면 다음 순간에는 끊임없이 움직이는 형
Living&Space
-

2023년 5월호
서울시립미술 아카이브
©노기훈©Kim YongKwan ©전명은 최근 미술계에서 아카이브의 중요성이 대두되고 있다. 획일화를 거부하고 다양한 해석의 가능성을 열어두는 현대미술의 특징이 다양한 맥락에서 접근할 수 있는 아카이브 형식으로 연결되고 있는 것이다. 서울시립미술관은 4월 종로구 평창동에 서울시립미술 아카이브를 새롭게 오픈했다. 설립 목적은 여러 개인 및 단체가 남긴 한국 현대미술의 기록과 자료를 선별해 수집하고, 보존하고, 연구하는 것. 여
Living&Space
-

2023년 5월호
패션 회사의 ESG 경영 이야기②
코오롱스포츠 솟솟리버스. 주소 제주도 제주시 탑동로 13 솟솟리버스에서 만날 수 있는 연진영 작가의 의자. 지구와 연결된 브랜드의 철학 코오롱스포츠는 국내 첫 아웃도어 브랜드다. ‘자연으로 가는 가장 좋은 방법(Your Best Way to Nature)’을 표방하는 이들에게 자연과의 공존은 숙명이나 다름없다. 그러나 옷을 생산하고 판매해 이윤을 내야 하는 기업 입장에서 자연과의 공존을 꿈꿀 수 있을까? 코오롱스포츠도 이 문제에
Product
Living&Space
-

2023년 5월호
앙가르 Y
©Luc Boegly ©Luc Boegly 1879년에 지은 세계 최초의 비행선 격납고가 40년 만에 대중에게 모습을 드러냈다. 비행선 대신 현대미술을 가득 품은 채 말이다. 파리 근교 뫼동Meudon에 위치한 앙가르 Y Hangar Y는 3500㎡ 면적에 길이 70m, 높이 23m에 달하는 거대한 철골 구조 건축물로 귀스타브 에펠의 스승인 앙리 드 디옹Henri de Dion이 디자인했다. 커다란 유리 벽과 천장 덕에 채광이 풍부
Living&Space
-

2023년 5월호
제주 땅 밑으로 스며드는 단색화
Courtesy Fernando Menis in collaboration with BAUM Courtesy Fernando Menis 단색화 거장 박서보의 미술관이 제주에 들어설 예정이다. 박서보미술관(가칭)은 JW 메리어트 제주 부지에 대지 면적 1만 2137㎡, 총 건축 면적 1만 1571㎡로 건립할 예정이며 디자인은 폴란드 CKK 조단키 콘서트 & 컨벤션홀로 잘 알려진 세계적인 건축가 페르난도 메니스Fernando Menis가 맡았다.
Living&Space
-

2023년 5월호
<해비타트 원 Habitat One〉전
광합성을 통해 공기를 정화하는 알게가 자라나는 ‘트리 원’을 입구에서 만날 수 있다. ©윤선웅 외부 미디어 파사드를 통해 상영 중인 ‘해비타트 원: 탄소 중립 시대의 새로운 도시 풍경’ 영상. 장소 현대 모터스튜디오 서울 기간 3월 18일~5월 중순 참여 작가 에콜로직스튜디오, ecologicstudio.com 웹사이트 motorstudio.hyundai.com/seoul 급격한 도시화 현상이
Living&Spac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