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2023년 10월호
신한은행 〈Meet Here.〉전
〈Meet Here.〉 전시장.금융권에 ‘캐릭터 대전’이 한창이다. 카드에 캐릭터를 접목하는가 하면, 이를 이용한 다각적인 프로모션을 진행하며 각축전을 벌이고 있다. 향후 미래의 주요 고객이 될 연령층까지 포용하려는 시도가 눈길을 끈다. 하지만 단순히 캐릭터를 재가공하는 방식만으로 젊은 세대의 마음을 사로잡기는 어렵다. 캐릭터 마케팅의 성패는 ‘얼마나 귀여운지’보다는 ‘고객과의 친밀
Living&Space
-

2023년 9월호
〈시네마 인페르노〉전
메종 마르지엘라가 지난 7월 29일부터 8월 15일까지 도쿄 오모테산도 부티크 매장 오픈을 기념하는 전시를 열었다. 지난해 파리에서 첫선을 보이기도 했던, 패션쇼와 연극, 디지털 스트리밍을 합쳐놓은 집단 퍼포먼스 ‘시네마 인페르노Cinema Inferno’를 전시 형식으로 선보인 자리였다. 부당한 현대사회의 룰에서 벗어나고자 하는 한 연인이 사막에서 탈주하는 서사로 구성한 ‘시네마 인페르노’의 줄거리와 시각적
Living&Space
-

2023년 9월호
어반라이크 에디션
도시 아카이브 매거진 〈어반라이크〉가 10주년을 맞이해 8월 4일부터 13일까지 아모멘토 플래그십에서 팝업 전시 〈Book and Space〉를 열었다. 이번 전시에서는 책과 공간의 관계에 대해 탐구한 최신호와 함께 김기석, 윤라희, 구오듀오 세 팀의 작가들과 아트피스 프로젝트도 진행해 눈길을 끌었다. 〈어반라이크〉는 다양한 창작자와 함께 해당 이슈를 창의적으로 재해석해 일상에 밀접한 용품을 제작하는 어반라이크 에디션 프로젝트를 전개해왔다. 이번에는 &
Living&Space
-

2023년 9월호
펀잇쳐스의 두 번째 쇼룸
모듈 가구를 이용한 공간 활용 방법을 제시하는 브랜드 펀잇쳐스가 8월 25일 마포구에 새로운 쇼룸 ‘액션스투디오’를 오픈했다. 2014년 코리아디자인어워드 리빙 부문에서 수상한 바 있는 펀잇쳐스는 자사가 개발한 시스템 이름을 그대로 쇼룸에 붙였다. 데스크, 베드, 파티션 등 모듈 유닛을 조합하면서 공간 활용의 가능성을 직접 경험할 수 있게 했다. 액션스투디오는 제품 연구개발 공간이자 모임 활동을 지원하는 교류 공간, 가구를 홍보하
Living&Space
-

2023년 9월호
2023 공간디자인페어
〈2023 공간디자인페어〉기간 8월 3~6일장소 코엑스 D홀주최 메쎄이상협업 간삼건축, 한국실내건축가협회, 호텔 아비아서울대학교 소비트렌드분석센터는 〈트렌드 코리아 2023〉에서 올해 소비 경향을 좌우할 핵심 트렌드 중 하나로 ‘공간력’이라는 키워드를 제시했다. 비대면 시장의 활성화와 비례해 실제 공간의 의미와 역할 역시 중요해진다는 것이다. 그런 의미에서 올해 공간디자인페어는 공간력이 공간 디
Living&Space
-

2023년 9월호
<어저께의 나머지에 오늘을 붙여>전
박현성, 〈마지막 포옹〉윤석원, 〈Light And Matter_Space 005〉두괄식과 미괄식 가운데 어떤 구성을 선호하는가? 오는 9월 14일 한옥 갤러리 지우헌에서 열리는 2인전 〈어저께의 나머지에 오늘을 붙여〉는 개괄식이라고 할 수 있다. 이번 전시는 두 작가의 작품을 번갈아 배치해 관객이 작품 간의 연결 지점을 스스로 찾도록 유도한다. 정해진 가이드를 따르지 않고 감상자가 직접 병치된 작품 간의 관계를 해석하도록 구성한 것이다. 따라서 대상
Living&Space
-

2023년 9월호
DL E&C 브랜드 가이드라인 'OUR CREED'
블랙과 오렌지 컬러로 구성한 ‘OUR CREED’ 패키지.e편한세상 애플리케이션 가이드라인과 심벌을 적용한 외부 사이니지.입지 조건이 선택의 거의 유일한 조건이었던 과거와 달리, 오늘날에는 브랜드가 아파트를 고르는 데 중요한 지표가 됐다. DL E&C(이하 DL이앤씨)는 이러한 변화의 선두에 서 있다. 아크로와 e편한세상, 두 브랜드는 브랜딩 전략과 차별화된 디자인으로 고부가가치를 창출했다. 하이엔드 주거 문화의 기준을 정
Living&Space
-

2023년 9월호
3주년을 맞이한 일상비일상의틈
지난 8월에 진행한 삼성 갤럭시 Z 플립 5, 폴드 5 팝업 스토어 ‘U Full Day’. 다양한 사진을 찍어볼 수 있는 경험을 강조했다. ©박순애(스튜디오 수달)LG유플러스 캐릭터 ‘무너’를 활용한 아무너케 팝업 스토어.나승훈 작가의 MBTI를 의인화한 인스타툰을 활용한 전시.지난 3년간 전염병과 디지털 전환을 겪으며 가상공간이 새로운 가능성으로 대두됐다. 그렇다면 오프라인 공간은 이제 그 의미를
Living&Space
-

2023년 9월호
SBAU 2023 MAP
도시에는 여러 이익이 공존한다. 공적 가치와 사적 가치가 충돌하며 계속해서 팽창한다. 서울에 살지만 서울을 누리지 못하는 사람이 어쩔 수 없이 늘어난다. 제4회 서울도시건축비엔날레는 서울의 진정한 정체성을 되살리기 위해 공동의 가치 기준을 설정했다. ‘산길, 물길, 바람길의 도시, 서울의 100년 후를 그리다’라는 부제가 달린 이번 비엔날레는 ‘땅의 건축’과 ‘땅의 도시’라는 큰
Feature
Living&Space
-

2023년 9월호
땅의 건축가 12②
©Adam Mørk©Adam Mørk©Adam Mørk도르테 만드루프 A/S 도르테 만드루프바덴해 센터(리베, 2017) “땅을 이해하려면 지형, 형식, 물질뿐 아니라 문화적 관계를 알아야 한다. 인간의 간섭이 없는 자연이 거의 없다는 것을 이해해야 한다. 바덴해 센터를 설계할 때 가장 중요하게 생각한 점이었다. 매일 바뀌는 조류와 서식하는 새뿐 아니라 바이킹족 문화와
Feature
Living&Spac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