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2022년 12월호
기업가치혁신상 SK디앤디 - 2
일과 여가를 통합한 성수동의 랜드마크, 생각공장 성수 & 성수낙낙 SK디앤디는 성수동과 각별한 인연이 있다. 에피소드의 두 지점이 이곳에 있는 데다 지식산업센터 ‘생각공장 성수’와 그 일부인 라이프스타일 복합 공간 ‘성수낙낙’도 SK디앤디의 손길을 거쳐 탄생했다. 두 공간은 용도도 형태도 전혀 다르지만, 사용자 관점의 디자인과 철저한 시장조사에 기반한 기획을 거쳐 탄생한 결과물이라는 점에서 공통분모
Feature
Living&Space
-

2022년 12월호
기업가치혁신상 SK디앤디 - 1
부동산 개발과 디자인. 둘 사이의 거리가 해를 거듭할수록 좁혀지고 있는 양상이다. 오랜 세월 부동산 개발의 핵심은 면적 대비 효율을 통한 이윤 창출이었지만, 이제는 패러다임의 전환이 이루어지고 있다. 오늘날 많은 디벨로퍼 기업들이 다양한 창작자와 협업해 심미성과 사용성을 충족하는 디자인 프로젝트를 선보이고 있다. 올해 기업가치혁신상을 수상한 SK디앤디(SK D&D)는 이러한 변화의 최전선에 있는 디벨로퍼 기업이다. 2017년 RESI 솔루션 운용
Designer
Feature
Living&Space
-

2022년 12월호
스트리밍하우스의 워케이션 브랜드, 더휴일
2022년은 워케이션 도입기였다. 기업, 지역, 근로자 모두 새로운 형태의 리모트 워크를 인지하고 받아들이기 시작한 시점이었다. 달리 말해 수요도 공급도 한정적이었다. 주요 수요자는 대기업이었고 행선지는 제주도가 압도적으로 많았다. 하지만 모든 사업의 초기 단계가 그렇듯 당장 도입 효과가 없다는 이유로 어떤 준비도 하지 않는다면 비즈니스는 결코 성장할 수 없다. 스트리밍하우스는 국내 워케이션 시장이 형성될 무렵부터 영리하게 경쟁력을 확보한 콘텐츠 크리
Living&Space
-

2022년 12월호
아키모스피어 : 네이버 1784 로비
현재 국내 디자인 신에서 가장 필요한 가치는 ‘다양성’인 듯하다. 올해 인테리어 분야 출품작의 완성도는 전체적으로 높아졌으나 심사위원들은 유행과 흐름에 편승한 경우가 너무 많아 독창성이 부족해 보인다고 입을 모았다. 디자이너 고유의 세계가 느껴지지 않기에 작품의 질적 수준은 높아졌어도 힘 있는 공간을 찾기 힘들다는 게 공통된 의견이었다. 공간의 본질을 이해하기보다는 불필요한 미사여구로 장식하는 경향이 강하다는 우려의 목소리
Feature
Designer
Living&Space
-

2022년 12월호
신민재 건축가의 얇은 집 탐사
왜 좁은 땅, 얇은 집에 관심을 두게되었나? 1980년대에 성장기를 보냈다. 고도성장기의 서울과 수도권의 다양한 주거지에 살았다. 안양 비산동 주공아파트, 과천 2단지 주공아파트, 강남 영동차관아파트가 대표적이다. 튼튼하게 만든 좋은 아파트지만 내가 살던 곳과 주변은 모두 사라져 흔적을 찾기 힘들다. 도로명과 사거리 이름, 심지어 버스정류장 이름까지 모두 바뀌었다. 태어나고 살았던 행정구역은 있지만 정작 고향이라고 할 만한 것이 사라져 나 자신이 난
Living&Space
-

2022년 12월호
본향전 프로젝트
중앙 홀. 보존을 위해 특수 처리한 엘트라바이의 플라워 작품을 설치했다. 일제강점기를 거치며 마땅히 지켰어야 할 우리 문화 중 많은 부분이 소실되었다. 게다가 한국전쟁 직후 불어닥친 산업화와 국제화로 주체적 근대화의 기회마저 놓치고 말았다. 이렇게 우리가 잃어버린 문화 가운데 중요한 것 한 가지가 바로 장례 문화다. 장묘에서 화장으로 장례 문화의 축이 빠르게 바뀌고 있지만, 현대적 계승의 기회를 상실한 우리네 봉안당은 지나치게 화려하거나, 과하게 상업적
Living&Space
-

2022년 12월호
2022 서울라이트 DDP
뉴미디어 아티스트 엔자임의 ‘유니버설 트래블러’. 서울라이트 겨울 기간 12월 17일(토)~2023년 1월 1일(일) 운영 시간 19:00~22:00 (추후 일정 변동 가능) 장소 DDP 서측 전면 222m 외벽 2022 서울라이트 DDP의 주제 ‘우주적 삶(Designing Life at the Universe)’은 성큼 현실로 다가온 우주에서의 삶을 상상하는 동시에 무한한 공간인 우주의 관점에서 일
Digital
Living&Space
-

2022년 12월호
2022 서울디자인페스티벌
제21회 서울디자인페스티벌 기간 12월 20~23일 장소 코엑스 3층 C홀 주최 디자인하우스 주관 월간 〈디자인〉후원 산업통상자원부, 서울특별시, 한국디자인진흥원, 한국공예·디자인문화진흥원, 서울디자인재단지난해 성인식을 치른 서울디자인페스티벌이 한층 성숙한 모습으로 돌아온다. 월간 〈디자인〉의 콘텐츠와 국내외 디자인 분야 네트워크에 기반한 이 크리에이티브 축제는 국내 디자인 경쟁력 강화를 목표로 기획했다. 디자이너의 아이디어가
Designer
Living&Space
-

2022년 11월호
플랏엠
옴니디자인과 라이프스타일일공일에서 실무를 익힌 선정현이 2005년 설립한 디자인 스튜디오. 플랏엠은 누구와도 관계 맺기를 할 수 있는 익명의 ‘M동’이라는 뜻. 홍대 산울림소극장 1층에 위치한 카페 수카라와 국내 1세대 리빙 편집숍 루밍, 패브릭 브랜드 키티버니포니, 제로컴플렉스, 그라더스, 식스티세컨즈, 플라츠2 등의 공간과 가구 디자인, 기획을 맡았다. 선정현, 조규엽 2인 체제를 유지하며 2016년부터 ‘논픽션홈&
Living&Space
Feature
Designer
-

2022년 11월호
비트윈 스페이스
디자인 비트윈 스페이스(대표 김정곤·오환우)참여 디자이너 양혜진, 이현정, 윤주원, 정양훈, 안태영주소 경기도 성남시 분당구 정자일로 95사진 최용준네이버1784 5층 식당 네이버의 신사옥 네이버1784의 5층은 식당만이 아니다. 식사 시간이 지나면 주방 공간의 벽면 패널이 닫혀 차단되며, 업무 공간으로 자유롭게 활용할 수 있다. 비트윈 스페이스는 구내식당에 흔히 사용되는 디자인 문법을 적용하지 않았다. 테이블 위의 작은 펜던트 조명조차
Feature
Designer
Living&Spac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