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2023년 6월호
해로즈 백화점에 들어선 달콤상큼한 프라다 카페
런던의 유서 깊은 해로즈 백화점에 프라다 카페가 문을 열었다. 네오바로크 양식의 백화점 외관을 장식하는 테라코사 타일 벽돌과 민트 그린 컬러를 적용한 현대적인 프라다 카페가 완벽한 조화를 이룬다. 패션 하우스가 F&B 공간을 오픈할 때, 브랜드만의 아카이브를 어떤 방식으로 재해석했는지 관심이 쏠리기 마련이다. 이번 프라다 카페는 밀라노 대성당 인근 프라다 부티크의 바닥 패턴 디자인을 고스란히 옮겨왔고, 벽면은 하우스를 연상시키
Living&Space
-

2023년 6월호
무인 리테일 편집매장을 위한 디바이스 디자인
24시간 운영 가능한 무인 리테일 편집매장 ‘밀리Mealy’가 최근 논현동에 문을 열었다. 유명 브랜드의 샐러드, 티, 치즈, 커피 등을 큐레이션해 선보이는 이곳은 인공지능 솔루션 개발 기업 ‘인피닉’에서 기획했다. 매장 관리자는 인피닉이 개발한 애플리케이션을 활용해 재고 관리부터 고객 행동 분석, 매장 상황 모니터링 등 원격으로 다양한 업무가 가능하다. 이곳을 운영하는 데는 전용 앱 외에도 점원 없이 판매와
Living&Space
-

2023년 6월호
부산의 작은 틈, 오초량
사진 텍스처 온 텍스처“이야기로 기억되는 곳은 결코 사라지지 않는다.” 부산 원도심에 위치한 오초량을 소개하는 문장이다. 일맥문화재단이 운영하는 전시관이자 복합 문화 공간인 이곳은 1925년에 지은 목조 가옥으로 근대문화유산 등록문화재로 지정되었다. ‘풀밭의 길목’이라는 의미를 담은 ‘초량’ 앞에 감탄사 ‘오!’를 붙여 이름을 지었다고. 대부분의 등록문화재가 관광지로
Living&Space
-

2023년 6월호
오지아
Interior Architecture·Winner · 느리게 걷기: 성재영 이즈피부과 사적 영역, 공적 영역을 나누는 축이 되는 광장 격의 로비. 느리게 걷기: 성재영 이즈피부과 Walking Slowly: Jae-Young Seong Ease Dermatology Clinic 부산 서면의 병원 밀집가에 들어서야 했기에 기존 병원 브랜드와는 다르게 접근해야 했다. 이에 오지아는 부지의 장소성에서 ‘광장, 자
Designer
Living&Space
-

2023년 6월호
플라이밍고
Interior Architecture·Winner · 이너시그널 라운지 입구와 리셉션. 콘셉트상 ‘첫 문장’에 해당한다.이너시그널 라운지 Inner Signal Lounge 책을 펼치듯 공간이 한 장면씩 펼쳐지는 곳. 바로 플라이밍고가 디자인한 이너시그널 라운지다. ‘서서히, 잔잔하고 은은하게 차오르는 온기와 부드러운 분위기’를 공간에 녹였다는 설명은 입구를 열고 실내에 한 발
Designer
Living&Space
-

2023년 6월호
한국적 주거 생활양식
도시별 월평균 일조 시간한국적 주거 생활양식 주거 단위의 공간 형식에서도 한국 아파트는 특별하다. 다른 특성이 대부분 경제적·제도적 여건에 기인하는 것이라면, 이 특별함은 한국인의 주거 생활양식이 유전적으로 발현된 것이라 할 수 있다. 대부분 너무 당연해서 특별하다고 생각해본 적도 없는, 그야말로 유전적으로 지속해온 것들이다. 우선 ‘전 세대 남향’이라는 광고 문구가 자연스러울 정도로 보편적인 남향 선호 현상을
Feature
Living&Space
-

2023년 6월호
퍼시스 커뮤니티 오피스
여의도 파크원 타워에 오픈한 퍼시스 커뮤니티 오피스의 ‘소셜 라운지’.일하는 공간의 새로운 기준엔데믹 시대에 발맞춰 ‘백 투 오피스Back to Office’가 본격화되고 있다. 지난 몇 년간 하이브리드 워크가 떠오르며 일하고 싶은 장소를 구성원들이 직접 선택했다면 이제는 이들을 다시 응집할 물리적 오피스가 중요해진 것이다. 오늘날 오피스는 단순히 ‘일하러 가야만 하는 곳(Go to W
Living&Space
-

2023년 6월호
띵띵땡 크리에이티브 그룹
Interior Architecture·Winner · 1000개의 의자, 1000개의 감성, 1000개의 소통 다종다양한 가구와 그래픽으로 다양성의 가치를 드러냈다. 의도적으로 배색 대비를 강조하고 형태의 유사성은 배제해 시각적 인지도를 높였다. 1000개의 의자, 1000개의 감성, 1000개의 소통 1000 Seats 1000 Feelings 1000 Words과천시장애인복지관 복도가 개소한 지 약 10년 만에
Designer
Living&Space
-

2023년 6월호
모두 단지 안에 있다
환경 미술로 장식한 아파트 단지 담장.모두 단지 안에 있다 한국의 아파트는 대단지 안에 있다. 적게는 수십 호, 많게는 수천 호로 이루어진 단지가 담장이나 펜스를 두르고, 출입구 한두 개를 통해 사람과 차량이 출입하는 것이 보통이다. 우리에게 익숙한 이 풍경은 사실 도시 건축으로는 매우 이례적인 것이다. 북촌 골목이 그렇고 가로수길이 그렇듯 건물은 가로 공간에 직접 접해 건축하는 것이 상식이다. 아파트 단지만 이 상식을 따르지 않는다. 서구에서도 모더니
Feature
Living&Space
-

2023년 6월호
스탠더드가 된 33평 3LDK
전용면적 85㎡ 3LDK 아파트 평면.스탠더드가 된 33평 3LDK30평형대 3LDK(방 3개와 거실, 식사실, 부엌이 있는 평면). 평면 아파트. 한국 중산층이 가장 많이 살고 있고, 갖고 싶어 하는 집이다. 구체적으로는 전용면적 85㎡에 방 3개와 거실, 주방을 갖춘 구조다. 이 유형이 가장 많은 것은 법제도 때문이다. 아파트 수요가 지속되자 정부는 1978년 ‘주택 공급에 관한 규칙’을 제정해 주택 건설 자금 조성과
Feature
Living&Spac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