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2023년 5월호
LCDC SEOUL
LCDC SEOUL 외관. 자동차 정비 공장과 구두 공장이 다양한 이야기가 공존하는 문화 공간으로 진화했다. 오늘날 서울은 그야말로 힙 플레이스의 천국이다. 연일 트렌디하고 매력적인 공간이 쏟아지니까. 하지만 대부분 반짝 인기에 그치고 만다. 소리 소문 없이 기억에서 사라진 공간이 어디 한둘인가. 이 도시는 화려한 연출과 순간의 눈요기만으로는 공간의 지속 가능성이 충족되지 않는다는 사실을 깨달아가는 중인 듯하다. 그렇다면 지속 가능한 공간은 어떻게 성취
Living&Space
-

2023년 5월호
제14회 광주비엔날레 파빌리온
지금 광주는 지구 안의 또 다른 지구다. 4월 7일 14번째 광주비엔날레가 개막하며 세계 각국의 예술가와 작품들이 모여들었다. 7월 9일까지 열리는 이번 광주비엔날레의 주제는 ‘물처럼 부드럽고 여리게’. 노자의 〈도덕경〉 ‘유약어수(柔弱於水)’에서 차용한 것으로, 예술총감독 이숙경은 “물은 예술가만이 할 수 있는 예술의 힘을 상징한다”며 “물처럼 예술에도 서서히 길을 전환시키는
Designer
Living&Space
-

2023년 5월호
아뜰리에 에르메스 〈토끼의 질주〉전
2013년 작 ‘Babel 19’. 토끼가 질주한다. 그러나 전시장에는 토끼가 없다. 대신 피카소와 마티스, 잭슨 폴록 등 지난 100년을 떠들썩하게 만들었던 화가들을 연상시키는 흔적만 있을 뿐이다. 잠시 무언가를 지시하는 듯 보였던 물감은 어느새 형체 없이 투명한 표면 위에 ‘곡예하듯’ 쌓이거나 아예 캔버스를 벗어나 흰 벽 위로 달려 나간다. 물감의 흔적은 앨리스의 토끼가 바쁘게 남기고간 궤적처럼 보이는가 하면 다음 순간에는 끊임없이 움직이는 형
Living&Space
-

2023년 5월호
서울시립미술 아카이브
©노기훈©Kim YongKwan ©전명은 최근 미술계에서 아카이브의 중요성이 대두되고 있다. 획일화를 거부하고 다양한 해석의 가능성을 열어두는 현대미술의 특징이 다양한 맥락에서 접근할 수 있는 아카이브 형식으로 연결되고 있는 것이다. 서울시립미술관은 4월 종로구 평창동에 서울시립미술 아카이브를 새롭게 오픈했다. 설립 목적은 여러 개인 및 단체가 남긴 한국 현대미술의 기록과 자료를 선별해 수집하고, 보존하고, 연구하는 것. 여
Living&Space
-

2023년 5월호
패션 회사의 ESG 경영 이야기②
코오롱스포츠 솟솟리버스. 주소 제주도 제주시 탑동로 13 솟솟리버스에서 만날 수 있는 연진영 작가의 의자. 지구와 연결된 브랜드의 철학 코오롱스포츠는 국내 첫 아웃도어 브랜드다. ‘자연으로 가는 가장 좋은 방법(Your Best Way to Nature)’을 표방하는 이들에게 자연과의 공존은 숙명이나 다름없다. 그러나 옷을 생산하고 판매해 이윤을 내야 하는 기업 입장에서 자연과의 공존을 꿈꿀 수 있을까? 코오롱스포츠도 이 문제에
Product
Living&Space
-

2023년 5월호
앙가르 Y
©Luc Boegly ©Luc Boegly 1879년에 지은 세계 최초의 비행선 격납고가 40년 만에 대중에게 모습을 드러냈다. 비행선 대신 현대미술을 가득 품은 채 말이다. 파리 근교 뫼동Meudon에 위치한 앙가르 Y Hangar Y는 3500㎡ 면적에 길이 70m, 높이 23m에 달하는 거대한 철골 구조 건축물로 귀스타브 에펠의 스승인 앙리 드 디옹Henri de Dion이 디자인했다. 커다란 유리 벽과 천장 덕에 채광이 풍부
Living&Space
-

2023년 5월호
제주 땅 밑으로 스며드는 단색화
Courtesy Fernando Menis in collaboration with BAUM Courtesy Fernando Menis 단색화 거장 박서보의 미술관이 제주에 들어설 예정이다. 박서보미술관(가칭)은 JW 메리어트 제주 부지에 대지 면적 1만 2137㎡, 총 건축 면적 1만 1571㎡로 건립할 예정이며 디자인은 폴란드 CKK 조단키 콘서트 & 컨벤션홀로 잘 알려진 세계적인 건축가 페르난도 메니스Fernando Menis가 맡았다.
Living&Space
-

2023년 5월호
<해비타트 원 Habitat One〉전
광합성을 통해 공기를 정화하는 알게가 자라나는 ‘트리 원’을 입구에서 만날 수 있다. ©윤선웅 외부 미디어 파사드를 통해 상영 중인 ‘해비타트 원: 탄소 중립 시대의 새로운 도시 풍경’ 영상. 장소 현대 모터스튜디오 서울 기간 3월 18일~5월 중순 참여 작가 에콜로직스튜디오, ecologicstudio.com 웹사이트 motorstudio.hyundai.com/seoul 급격한 도시화 현상이
Living&Space
-

2023년 5월호
도쿄에 펼쳐진 〈크리스챤 디올: 디자이너의 꿈〉전
2017년 파리 장식미술관에서 첫선을 보인 후 런던, 상하이, 뉴욕 등지를 순회한 디올 하우스 70주년 기념 전시가 도쿄를 찾았다. 크리스챤 디올을 비롯해 입생로랑, 존 갈리아노 등 패션 하우스 디올을 거쳐 간 아티스틱 디렉터들의 꿈과 열정에 주목한 전시다. 전시 디자인을 총괄한 OMA 소속 건축가 시게마쓰 쇼헤이는 일본 문화에 대한 이해를 바탕으로 그간의 순회 전시와는 다른 새로운 시노그래피 내러티브를 창출했다. 전시가 어느 도시에서 개최되는지에 따
Living&Space
-

2023년 4월호
멍때리기 좋은 체험형 전시, 〈힐링타임즈〉
늘 몰입과 집중을 강요받다 보니 현대인에게 ‘멍때리기’가 일종의 멘털 헬스 케어처럼 여겨지게 됐다. 이런 트렌드를 절묘하게 포착한 전시가 한남동 스토리에이에서 열린다. 스토리에이는 아모레퍼시픽의 팝업 전용 공간이자 고객 경험 실험실이다. 〈힐링타임즈〉전은 110만 구독자를 보유한 유튜브 채널 ‘뷰티포인트’가 선보이는 ‘힐링타임즈’ 콘텐츠를 전시로 옮긴 것. ‘힐링타임즈&rsqu
Living&Spac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