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그인 해주세요!
본문 바로가기
Design News
Identity 아이덴티티 디자인(3)

노보믹스 CI, 브로슈어, 영상



디자인 601비상(대표 박금준), 601bisang.com
참여 디자이너 박금준, 김지은, 정수진, 김호정, 김은총
클라이언트 노보믹스
발표 시기 2018년 5월

노보믹스는 암 치료 연계형 진단 시스템을 개발하는 기업이다. 신성新星이라는 뜻의 단어 ‘노보Novo’를 강조하며 융합, 정밀 진단, 빅데이터 등 기업의 주요 가치들을 상징화한 컬러로 CI를 디자인했다. 심벌 속 라인은 유연한 사고와 창의성, 공유 가치 등의 융합을 통해 맞물리며 새로운 질서를 창조해낸다는 기업의 방향성을 표현한 것이다. ‘더 나은 삶을 위한 도전’이라는 슬로건을 드러내는 모션 그래픽 또한 네 가지 키 컬러를 중심으로 전개하며 노보믹스의 CI 콘셉트를 강화했다.


MBC 그래픽 아이덴티티 리뉴얼





디자인 오디너리피플(대표 강진), ordinarypeople.kr
참여 디자이너 강진, 서정민, 안세용, 이재하, 백승미, MBC 브랜드 디자인팀
클라이언트 MBC 문화방송
발표 시기 2018년 6월

면이 축적되는 과정에서 도출한 그래픽은 MBC의 다양한 콘텐츠와 오랜 시간 쌓아온 경험을 의미한다. 시사/보도, 교양, 예능/드라마 등 세 분야에 대응하는 컬러 매치와 조형 방식을 적용해 채널의 정체성을 구분 지었다. 색상은 TV 매체를 고려한 색감으로 편안한 시청과 각기 다른 TV 디스플레이 환경을 고려해 높은 채도와 강한 대비를 피해 선택했다


한국갤럽 BI



디자인 슬로워크(대표 권오현), slowalk.co.kr
참여 디자이너 이강원·문광진(기획), 황옥연(매니징), 김영희(디자인)
클라이언트 한국갤럽
발표 시기 2018년 7월

국내 여론조사 전문 회사 갤럽코리아의 브랜드 리뉴얼. 파란 점에서 시작해 다시 원점으로 완결되는 정사각형 심벌은 인간, 기업 그리고 사회 전체를 대상으로 하는 기업의 관점을 담고 공정성과 정확성을 바탕으로 올바른 답을 제공하는 과정을 의미한다. 또한 가로세로가 같은 굵기인 서체를 사용해 기업의 전문성과 엄격한 원칙을 지키는 기업 이미지를 드러냈다.


노랑풍선 CI, 비주얼 아이덴티티



디자인 인터브랜드(대표 문지훈), interbrand.co.kr
참여 디자이너 황유진(크리에이티브 디렉터), 정하진, 전유경, 권영미, 김남규, 임효정, 최세열, 김예은, 신한별, 유희경
클라이언트 노랑풍선
발표 시기 2018년 7월

구름 사이에 떠오른 노란 풍선은 가볍고 자유로운 이미지와 여행이 주는 설렘을 드러낸다. 각 도시의 랜드마크를 간결한 선으로 표현하고 각양각색의 여행지를 통일감 있게 구성했다. 검은색과 노란색의 선명한 대비가 경쾌하고 밝은 분위기를 전달한다.


당신의 일상 BI



디자인 다믐(대표 송지환), dameum.co.kr
참여 디자이너 박효진, 추혜림
클라이언트 지현이네건강식
발표 시기 2018년 9월

착즙 주스 브랜드로 시작한 ‘당신의 일상’은 건강 카페, 새벽 배송 서비스, 쇼핑몰을 운영하며 차후 간편 건강식, 운동기구, 건강 커뮤니티 등의 사업 확장을 준비하고 있다. 이런 특성을 고려해 직관성과 확장성을 갖춘 디자인 시스템 수립에 중점을 두었다. 일상을 나타내는 시계를 모티프로 한 로고를 기반으로 우측 상단의 도형, 잎, 근육 등으로 변주되는 기호를 조합해 하위 브랜드의 특징을 드러내면서 통일성이 유지되도록 했다.


피플카 CI



디자인 에이앤비커뮤니케이션(대표 송승은), anbcom.co.kr
참여 디자이너 손성우, 최병규, 정지은
클라이언트 피플카
발표 시기 2018년 10월

카셰어링 서비스 기업 피플카의 CI. 기업 가치인 나눔과 공유를 표현하는 데 집중했다. 피플카를 상징하는 퍼플 컬러와 알파벳 P, 그리고 이용자를 의미하는 원형의 핫 핑크를 사용해 문자와 도형을 균형적으로 조합했다.


어바니엘 BI



디자인 디자인에스프리(대표 김한석), designesprit.co.kr
참여 디자이너 김한석, 계용진, 최성욱, 곽나영
클라이언트 롯데자산개발
발표 시기 2017년 12월

어바니엘UrbaniL은 도시Urban와 나I, 그리고 롯데L의 서비스 경쟁력이 어우러진 새로운 라이프스타일 주거 브랜드다. BI는 ‘The Mark of Urban Life’를 콘셉트로 고급스럽고 쾌적한 이미지를 드러내고자 했다. 로고타이프에서는 직선을 강조한 간결한 타이포그래피와 도시 감성을 표현한 하단의 수평선으로 기존 주거 브랜드와의 차이를 나타내는 경계선이라는 의미를 담았다. 또한 다크 그레이를 키 컬러로 삼아 안정감과 고급스러운 이미지를 더했다.


사람인 CI



디자인 디자인포커스(대표 구정순), designfocus.co.kr
참여 디자이너 홍승연, 김관우, 심은솔, 김찬영
클라이언트 사람인 에이치알
발표 시기 2018년 9월

국내 취업 포털 사이트 사람인이 10년 만에 브랜드 리뉴얼을 진행했다. AI와 빅데이터 기술을 접목한 HR 테크 기업이라는 점을 드러내는 것과 모바일 및 웹 환경에서의 높은 적용성을 고려했다. 블루 컬러로 강조한 i는 ‘Individual’, ‘Intelligent’, ‘Interconnect’를 상징하며 구직자 개개인에게 딱 맞는 구직 환경을 제공하고자 하는 기업의 목표를 강조한 것이다. 최소 크기에 따른 가독성을 높여 모바일에서의 적용을 용이하게 하고자 간결한 소문자 워드마크를 적용했다.


헤이 BI



디자인 야놀자 브랜드디자인센터(실장 서진수), heyy.com
참여 디자이너 서진수, 김해영, 김다흰, 최보리
발표 시기 2017년 8월

헤이는 야놀자가 선보이는 여가 라이프스타일 브랜드다. 지역별 특성과 사업의 확장성을 고려해 밑줄과 여백을 남겨두는 플렉시블 로고 시스템을 적용했다. 워드마크 뒤에는 밑줄을 배치했는데 이 선은 ‘헤이, 춘천’에서는 춘천을 대표하는 호반의 물결로, ‘헤이, 서귀포’에서는 제주 현무암 돌담으로 변주된다. 이는 지역의 특성을 반영하는 동시에 브랜드의 명료함을 유지하는 장치다.


빌리브 BI



디자인 켈리타앤컴퍼니(대표 최성희), kelita.co.kr
참여 디자이너 최성희, 김은아, 박지현, 배지인
클라이언트 신세계건설
발표 시기 2018년 3월

빌리브는 신세계건설에서 론칭한 주거 브랜드다. 심플한 타이포그래피와 이퀄라이저를 조합한 생기 있는 디자인이 특징이다. 획일적이지 않은 스마트한 주거 공간과 365일 활기가 넘치는 기운을 표현했다.


홈플러스 BI



디자인 소디움 파트너스(대표 정일선), sodiumpartners.com
참여 디자이너 정일선, 박미정, 이승엽, 김헌범, 김리연, 도윤지
클라이언트 홈플러스
발표 시기 2018년 7월

홈플러스는 전사 차원의 브랜드 리뉴얼과 더불어 할인 마트와 창고형 매장을 결합한 새로운 공간을 기획했다. 기존 로고의 집 모양과 밑줄을 없애고 플러스 마크를 강조해 ‘쇼핑 혜택은 높이고 선택의 폭을 넓히며 오프라인 플랫폼에 모바일을 더한다’는 의미를 담았다. 사인 시스템, 일러스트레이션, 아이콘 등 매장 전반에 새로운 디자인 시스템을 적용하며 새로운 쇼핑 형태를 위한 브랜드 리뉴얼을 진행했다.


스페이스 오디티 BX



디자인 퍼셉션(대표 최소현), perception.co.kr
참여 디자이너 최소현, 정용욱, 최서훈
클라이언트 스페이스 오디티
발표 시기 2017년 11월

자유로우면서도 프로페셔널한 느낌을 전달할 수 있는 아이덴티티 구축과 고객과의 접점 발굴을 위한 개발에 주력했다. 스페이스 오디티가 뮤직 크리에이터를 무한하게 담는 공간이 되길 바라는 마음으로 블랙홀을 그래픽 모티프로 사용했다. 우주 속 시공간인 블랙홀을 레코드판으로, 그 속으로 빨려들어가는 속도감과 리듬감을 컬러 바 형태로 표현했다.


신한은행 모바일 뱅킹 BI



디자인 인터브랜드(대표 문지훈), interbrand.co.kr
참여 디자이너 황유진(크리에이티브 디렉터), 이득규, 김남규, 전혜리, 강나루
클라이언트 신한은행
발표 시기 2018년 2월

신한은행 모바일 뱅킹 서비스 ‘SOL’은 Solution의 머리글자를 따 ‘솔깃한 적금’, ‘쏠쏠한 혜택’ 등 언어적 확장이 가능하도록 한 네이밍이다. 각 글자의 높낮이는 발음에서 연상되는 운율감을 표현한 것이다. 블루 컬러에 기반한 그러데이션으로 신한은행의 브랜드 이미지와 연계성을 확보하면서 혁신적이고 스마트한 이미지를 살렸다.


스테이션 니오 BI



디자인 YNL 디자인(대표 이유나), ynldesign.com
참여 디자이너 이유나
클라이언트 스테이션 니오
발표 시기 2018년 1월

스테이션 니오는 스타트업 창업가들을 위한 공유 오피스다. 문이 열리고 빛이 드리우는 형태의 심벌은 ‘창업가의 가치 실현이 가능한 세계로 안내합니다’라는 기업 슬로건에서 도출했다. 열린 문은 공유와 융합을, 빛이 나오는 형상은 도약의 의미를 담았다.


한탄강지질공원 통합 BI, 패키지



디자인 쏘크리에이티브(대표 소선하), socreative.co.kr
참여 디자이너 소선하, 장진영, 김연희, 임지온, 최인숙
클라이언트 한국관광공사
발표 시기 2018년 9월

한탄강지질공원은 유네스코 등재를 앞두고 철원, 포천, 연천 3개 지자체와 한국관광공사가 공동 진행하는 프로젝트다. 한탄강 물줄기로 이어진 역동적인 지질과 지형을 반영한 심벌로 한탄강지질공원의 정체성을 표현했다.


신한금융 원신한 엠블럼 및 배지



디자인 디자인에스프리(대표 김한석), designesprit.co.kr
참여 디자이너 김한석, 계용진, 최성욱, 곽나영
클라이언트 신한금융자주
발표 시기 2018년 9월

원신한은 신한금융그룹의 내부 경영 슬로건이다. 창립 17주년을 맞아 그룹 계열사의 임직원들이 일체감을 느낄 수 있도록 원신한의 엠블럼과 배지를 디자인했다. 그룹사의 자원과 역량을 하나로 집중시키는 의미로 ‘Focusing One’이라는 콘셉트를 수립했다. I를 중심으로 형성된 원은 집중, 연결, 융합을 의미하는 동시에 신한금융의 하나 됨을 표현한 것이다.


여섯시오븐 BI



디자인 켈리타앤컴퍼니(대표 최성희), kelita.co.kr
참여 디자이너 최성희, 김은아, 박지현, 배지인
클라이언트 롯데쇼핑
발표 시기 2018년 3월

정직한 재료와 시간이 만들어낸 갓 구운 빵으로 건강한 하루를 나누는 크래프트 아틀리에, 여섯시오븐의 BI다. 밀가루 반죽 모양의 서체를 통해 자연 그대로의 크래프트 베이커리를 강조하고 로컬 빵집과 상생을 통해 더 다양한 맛과 즐거움을 주고자 하는 여섯시오븐의 마음을 표현했다.


유니랩 BI, 패키지



디자인 퍼셉션(대표 최소현), perception.co.kr
참여 디자이너 최소현, 정용욱, 최서훈
클라이언트 테이팩스
발표 시기 2017년 12월

국내 최초 랩 개발 회사인 유니랩은 인지도가 높은 식음료 전문 기업으로 B2B 시장에서의 신뢰를 바탕으로 소비자 시장의 포지셔닝을 위한 브랜드 리뉴얼이 필요했다. BI는 랩이 가로로 감겨져 있는 형상을 모티프로 제품의 특징을 심플하게 표현했다.


데이식스 비주얼 아이덴티티



디자인 박영하, younghapark.com
클라이언트 JYP엔터테인먼트
발표 시기 2018년 5월

데이식스는 JYP 스튜디오 J 소속 아이돌 모던 록 밴드다. 데뷔한 지 3년이 지났지만 공식적인 로고 없이 활동해온 데이식스에게 브랜드 이미지를 각인시킬 수 있는 비주얼 아이덴티티가 필요했다. 숫자 6을 중심으로 퍼져나가는 파장 형태는 데이식스의 음악적 파장을 의미하면서 하루를 상징하는 시계의 시침이자 음표의 형태를 형상화한 것이다.


서울음향 CI



디자인 디자인뮤제오(대표 박명환), designmuseo.co.kr
참여 디자이너 박명환, 오영민, 김민주, 신재호, 전범진
클라이언트 서울음향
발표 시기 2018년 6월

국내 최고의 음향 브랜드 서울음향의 통합 CI 리뉴얼 프로젝트. 서울음향의 그룹사들이 각기 다른 심벌을 사용하고 있었기에 이번 리뉴얼로 통합적인 브랜드 정체성을 공고히 하고자 했다. 음향 기술에 국한되지 않는 확장성과 직관성, 오래 기억되고 지속될 수 있는 영속성을 중점에 두고 개발했다. 달팽이를 모티프로 한 심벌은 30년간 우직하게 음향업계를 이어온 서울음향의 견실함과 신뢰를 함축한다.


가업식당 BI



디자인 YNL DESIGN(대표 이유나), ynldesign.com
참여 디자이너 이유나(크리에이티브 디렉터), 김금영
클라이언트 CJ푸드빌
발표 시기 2018년 1월

인천국제공항 내에 위치한 가업식당은 대를 이어온 한식집으로 구성된 셀렉트 다이닝 레스토랑이다. 채도를 낮춘 난색 계열의 컬러 시스템으로 한국적 정취와 간결함이 느껴지도록 했다.


국립경주박물관 BI



디자인 시디알어소시에이츠(대표 김성천), cdr.co.kr
참여 디자이너 김성천, 김도형, 안국일
클라이언트 국립경주박물관
발표 시기 2018년 11월

‘밀레 신라’는 천년의 유구한 역사를 자랑하는 깃든 신라 문화를 의미한다. 신라 문화의 고귀함, 영속성을 상징하는 로열 퍼플 컬러와 셰리프 계열 서체로 신비감을 더했다. 신라의 대표 유물인 천마총과 금관을 모티프로 알파벳을 디자인한 것이 특징이다.


삼척 갈남마을 브랜딩



디자인 써니아일랜드(대표 심준우), sunnyislad.kr
참여 디자이너 윤상준, 송진주
클라이언트 한국어촌어항협회
발표 시기 2018년 6월

갈남마을은 강원도 삼척의 조용한 어촌 마을로 최근 관광특화지로 활성화되며 인기 있는 휴양지로 알려지고 있다. 바다, 물결, 바람, 큰 섬 등 갈남마을을 상징하는 요소를 기호화한 그래픽으로 마을의 역사와 문화 그리고 일상을 공유하고 경험하는 가치를 마을 브랜딩 아이덴티티에 담았다.


영등포구 민선7기 구정 슬로건



디자인 브랜드인투이션(대표 김동진), intuition.com
참여 디자이너 김동진, 최영은, 박수비
클라이언트 영등포구
발표 시기 2018년 10월

2018년 영등포구는 구도심의 이미지를 탈피하고 ‘탁 트인 도시, 영등포’라는 슬로건을 내세워 새로운 변화를 의도했다. 한강의 수평선과 여의도의 스카이라인을 모티프로 타이포그래피를 구성했다. 불꽃을 형상화한 심벌은 ‘동서남북으로 열린 소통의 도시’라는 영등포구의 비전을 함축한다. 또한 양쪽의 선을 확장해 영등포의 랜드마크를 간결하게 보여주는 그래픽을 디자인했다.


우란문화재단 BI, 그래픽 아이덴티티



디자인 비스타디아(대표 전용철·강명석), vistadia.com
참여 디자이너 전용철, 강명석, 최승오, 정경태, 신홍섭
클라이언트 우란문화재단
발표 시기 2018년 10월

다양한 공연과 전시 콘텐츠를 만들고 인력을 육성하는 우란문화재단이 성수동으로 사옥을 이전하며 사업 BI, 공간 BI, 포스터 그래픽 아이덴티티까지 브랜드 디자인 시스템을 새로 구축했다. CI는 재단명에서 기안한 난초의 이미지를 모티프로 삼고 삼색, 치자색, 자색, 뇌록색으로 한국적인 색감을 살렸다. 사업 BI는 다양한 문화 풍경을 담아낸다는 의미로 우란문화재단의 ‘란’의 모음과 받침을 대괄호 형태의 타이포 프레임으로 도출했다.


블랭크 코퍼레이션



디자인 블랭크코퍼레이션(대표 남대광), blankcorp.kr
참여 디자이너 나세훈(크리에이티브 디렉터), 오영은(브랜드 디자인), 박선희·하지은(BX 디자인), 송인욱(웹사이트 디자인)
발표 시기 2018년 3월

블랭크는 콘텐츠 기반의 커머스 기업 블랭크TV가 운영하는 라이프스타일 브랜드다. 빠르게 변화하는 세상에서 혁신과 아이디어로 더 나은 삶을 창조하는 공간이 되는 것을 지향하며 ‘Think Factory’를 키워드로 삼았다. ‘blank’ 옆에 찍힌 점은 솔루션을 해결하다는 의미를 담고 있으며 진화하는 공장의 모습을 표현하고자 여러 형태의 공장 이미지를 고안했다.


랄라블라 BI



디자인 소디움파트너스(대표 정일선), sodiumpartners.com
참여 디자이너 정일선, 박미정, 신성령, 박주영, 박혜윤, 박예준, 김리연
클라이언트 GS리테일
발표 시기 2018년 2월

GS리테일의 남성적 이미지를 중화시키며 1030세대 여성에게 어필할 수 있는 브랜드 이미지를 수립하는 데 주력했다. 생동감 있는 스토어 이미지와 즐겁고 사랑스러운 삶을 표현하고자 워드마크에 하트 모양 포인트를 줬다.

Share +
바이라인 : <디자인> 편집부
디자인하우스 (월간디자인 2018년 12월호) ⓒdesign.co.kr, ⓒdesignhouse.co.kr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