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O | 비거니즘 전시 매뉴얼 wiki.0makes0.com/Home
전시 과정을 하나씩 돌아보며 “전시를 만들고 해체하는 전 과정에서 마주하는 여러 결정의 순간에 보다 환경에 덜 빚지는 선택지를 제공하기 위한 매뉴얼”이라고 기획자 제로의 예술은 설명한다. 작품 포장, 전시장 조성, 홍보와 디자인, 전시 운영 등 각 단계에서 사용되는 물질, 에너지 등을 확인하고 기타 대안까지 확인할 수 있다.
EN | GCC galleryclimatecoalition.org
“환경적으로 책임감 있는 예술 세계를 만들자.” 영국 예술계 갤러리와 관계자가 중심이 되어 2019년 발족한 갤러리기후연합(Gallery Climate Coalition)은 예술 작품의 창작, 운송, 유통, 소비 등 전 과정에서 탄소발자국을 줄일 수 있는 방법을 연구하고 시각적 자료로 제공한다. 초기에 영국이란 지역에 한해 환경 심포지엄을 개최하려고 한 것이 코로나19 팬데믹을 겪으며 이니셔티브로 확장된 것. 이 웹사이트에는 탄소배출량을 추정하는 탄소 계산기 기능이 있다.
KO | 지속 가능한 ACC 콘텐츠 창제작 가이드라인 acc.go.kr
2021년에 발간한 책자는 페스티벌, 전시, 개별 프로젝트 등의 콘텐츠 카테고리에서 지속 가능성을 언급한 사례를 분석하고 ‘쓰임 너머’를 위한 제언을 담고 있다. 지구에 더 나은 방식으로 콘텐츠를 옮기고 만들고 보여주고 유지하고 버리는 데에 도움이 되는 지침도 있다.
EN | 뮤지엄 실무에서 환경 지속 가능성을 위한 툴키트 cimam.org
2021년 국제근현대미술관위원회가 발표한 〈뮤지엄 실무에서 환경 지속 가능성을 위한 툴키트(Toolkit on Environmental Sustainability in the Museum Practice)〉가 바이블이 되어가는 추세. ‘전시대, 모듈식 가벽 등을 개발해 재사용하라’, ‘전시 디자이너를 위해 재활용 또는 재사용이 가능한 재료 등에 관한 지침을 만들라’ 등 구체적인 행동 지침이 있어 따라 하기 쉽다.
KO | 지속 가능한 미술관 매뉴얼(가제) arko.or.kr
오는 5~6월 발간을 목표로 한국문화예술위원회가 〈지속 가능한 미술관 매뉴얼〉을 준비하고 있다. 지난해부터 아르코미술관은 전시 안내장과 브로슈어 제작을 현저히 줄이고 웹사이트 접근성을 높이는 방향으로 움직이는 등 미술관의 역할과 운영 방식을 다른 방식으로 선회 중이다.
- 지금 전시 디자인에 주목하는 이유 기후 위기 앞 전시 디자인의 별일 - … (더 보기)
-
환경 영향을 줄이는 전시 디자인에 대해 더 알고 싶어졌다면 아래 웹사이트에 접속하자. 자신에게 꼭 맞는 질문을 찾는 데 도움이 될 것이다. 전시뿐만 아니라 디자인이란 행위에서 고민해볼 거리가 많다.Share +바이라인 : 글 윤솔희 객원 기자 담당 박슬기 기자
디자인하우스 (월간디자인 2023년 4월호) ⓒdesign.co.kr, ⓒdesignhouse.co.kr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