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그인 해주세요!
본문 바로가기
Design News
에피고넨의 시대, 단칼에 끊어내기

‘에피고넨epigonen’을 아시나요? 본래는 고대 그리스 신화에 나오는, 테베 전쟁에서 전사한 7인의 용사의 자식들을 이르는 말인데, 무슨 연유인지 몰라도 시간이 흐르면서 ‘위대한 예술이나 사상을 모방하는 아류’라는 의미로 전용됐습니다. 또 선구자가 사라진 뒤 그에 미치지 못하는 모사꾼이 군웅할거하는 것을 ‘에피고넨의 시대’라고 부르죠. 최근 미드저니가 예술가의 화풍을 애석할 만큼 쉽게 모방하는 모습을 보면서 마침내 우리가 에피고넨의 시대에 접어든 게 아닌가 하는 생각이 들었습니다. 예술성만큼은 인간 고유의 능력이라는, 그래서 인간성을 지켜줄 최후의 보루라는 신념이 무너진 것 같아 절로 탄식이 나오더군요(물론 예술성이라는 단어를 어떻게 해석하느냐에 따라 달라지겠지만). 분명 경탄할 만큼 신기한 기술이지만, 다른 한편으로 우리가 모방과 모사가 범람하는 시대에 귀속되어 있다는 사실을 방증하는 것 같아 씁쓸했습니다.

어쩌다 우리는 창작의 본원을 상실한 채 이리저리 방황하는 처지가 됐을까요? 어떻게 해야 아류의 숲을 뚫고 상실한 추진 동력을 되찾을 수 있을까요? 저는 풍부한 경험과 사유가 그 단서가 되리라 추측해봅니다. 정보의 채집을 넘어 이야기를 체득한다면, 충분한 사유를 거쳐 지성을 내재화한다면 우리는 창조의 활로를 되찾을 수 있을 것입니다. 오늘날 많은 이들이 전시장을 찾는 것도 결국 경험의 결핍을 충족시키기 위한 의식적·무의식적 행위라고 봅니다. 그런데 이러한 경험이 비단 벽에 걸린 작품 한 점, 기획자의 설명 글 한 줄로 충족되는 것은 아닙니다. 작가와 기획자 곁에 서 있는 전시 디자이너를 주목해야 하는 이유입니다. 실제로 전시 디자이너는 절묘한 작품 배열과 섬세한 동선 설계, 때로 적절한 테크놀로지의 활용으로 관람객을 또 다른 세계로 인도합니다. 월간 〈디자인〉 538호 특집 ‘그 전시, 누가 디자인했을까?’에서는 그동안 우리가 미처 주목하지 못했던 이 설계자들의 이야기에 주목합니다.

독일 극작가 베르톨트 브레히트는 저서 〈새로운 예술을 찾아서〉를 오디세우스와 사이렌의 이야기로 시작합니다. 사이렌이 아름다운 노래로 항해하는 선원들을 홀려 수장시켜 버린다는 소식을 들은 영웅 오디세우스는 부하들에게 자신을 배 기둥에 결박하라고 지시하죠. 결국 사이렌의 미성에도 오디세우스는 안전하게 갑판 위에 살아남았다는 고대 그리스 신화입니다. 재미있는 것은 이 신화를 바라보는 브레히트의 시각입니다. 세상은 영웅의 지략을 칭송하지만, 그는 오히려 이성을 부여잡느라 예술에 미동조차 하지 않는 한 인간의 무지함에 통탄합니다. 사이렌이 이 ‘소심하기 짝이 없는 시골뜨기’에게 예술을 허비했다며 예술의 본질에 관해 묻죠. 오래전 이 글을 읽고 저는 오디세우스의 손에 예리하게 연마한 단도가 들려 있었다면 이야기가 많이 달라졌을 것이라고 상상한 적이 있습니다. 서사로 치면 비극이 되겠지만 오디세우스 개인은 가장 황홀하게 마지막 순간을 맞이했겠죠. 지상에서 경험할 수 있는 최고의 예술과 함께. 오늘날 가장 필요한 것은 빈곤한 에피고넨의 시대에서 우리 몸을 끊어내고, 예술의 세계에 한 발 더 내딛게 해줄 무언가가 아닐지요. 전시 디자인에서 어쩌면 그 답을 찾을 수 있을지 모릅니다.

Share +
바이라인 : 글 최명환 편집장
디자인하우스 (월간디자인 2023년 4월호) ⓒdesign.co.kr, ⓒdesignhouse.co.kr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